"전자제품 예외 일시적… 반도체 관세에 포함"
반도체 관세 부과 시점엔 "한두 달 내 발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9일 워싱턴 백악관 서관 밖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당초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한 전자제품에 대해 13일(현지시간)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방침을 바꿨다.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 부과되는 관세를 반도체 품목별 관세에 포함시키겠다는 것이다. 시점은 한 달 후로 못박았다.
상호관세에서 빠진 전자기기, 반도체 관세에 포함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ABC 방송 '디스 위크'와 인터뷰에서 스마트폰, 컴퓨터 등 전자제품과 관련 "이러한 모든 제품은 반도체 제품에 속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같은 제품들이 안심하고 사용될 수 있도록 특별하게 집중된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것"이라며 "우리는 반도체, 칩, 평면 패널을 필요로 하며 이런 것들은 미국에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도체가 활용되는 첨단 전자제품의 경우 조만간 발표할 반도체 품목 관세에 포함시켜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얘기다.
러트닉 장관은 '컴퓨터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에 대한 관세가 일시적으로 면제되지만, 한 달 정도 후에 다른 형태로 부과될 것인가'라는 질문에 "맞다. 반도체와 의약품은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기 위한 관세 모델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반도체 관세는 한 달 정도 후, 의약품 관세는 한두 달 내에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앞서 11일 수입품 통관절차를 담당하는 미 관세국경보호국(CBP)은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라는 공지를 통해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 품목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상호관세가 부과될 경우 애플 아이폰 등의 미국 소비자 가격이 두 배 넘게 폭등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다만 일각에서는 반도체 품목별 관세 부과를 위한 사전조치라는 관측도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 미국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로 이동하는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에 탑승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팜비치=로이터 연합뉴스 |
반도체·의약품 관세, 국가 안보 차원… "협상 없다"
러트닉 장관은 미국으로 반도체 산업과 제약 산업의 이전을 장려하기 위한 관세 모델을 시행할 것이라며 "우리가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것들을 외국에 의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건 영구적 면제 조항과 다르다. 각국이 협상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걸 분명히 하고 있다"며 "미국에서 만들어야 하는 국가 안보와 관련된 것들"이라고 강조했다. 국가별로 협상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던 상호관세와 달리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에는 협상 여지가 없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 기술 기업들의 불확실성을 증폭시킬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애플 주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11일까지 약 19% 떨어졌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관세 발표는 일련의 반전을 겪었으며, 지난주에는 29조 달러(약 4경1,363조 원) 규모의 미국 국채 시장에서 대규모 매도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나주예 기자 juye@hankook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