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게티이미지뱅크) |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13일 홈페이지에 게시한 입장문에서 “미국 측이 4월 10일 일부 무역 파트너에 대한 고액의 상호관세를 잠정 중단한 이후 내놓은 두 번째 조정이라는 점에 주목한다”며 “미국 측이 일방적 상호관세라는 잘못된 처사를 수정하는 작은 발걸음”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국이 국제 사회와 국내 각계의 이성적 목소리를 직시하고 잘못을 시정하는 데서 큰 발걸음을 내딛어 상호관세라는 잘못된 처사를 철저히 취소하기를 촉구한다”면서 “상호존중과 평등한 대화를 통해 이견을 해결하는 올바른 길로 돌아오기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결정은 미국 소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애플 등 자국 빅테크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에 면제된 기술 제품은 지난해 미국의 대중국 수입액 중 23%에 해당한다.
특히 애플의 경우 아이폰의 약 80%를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어 상호관세 부과 시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 가격이 급등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미국은 현재 중국산 수입품에는 125%의 상호관세와 20%의 추가 보편관세를 부과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발표 후 애플 주가는 11% 떨어졌고, 시총은 6400억달러(약 908조 원) 증발했다.
한편 미국은 상호관세와 별도로 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 부과를 앞두고 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품목별 관세에 대해 “우리는 매우 구체적일 것”이라며 “월요일(14일)에 그에 대한 답을 주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