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포스코, 현대제철 美제철소 지분투자 검토…관세장벽 함께 넘나

0
댓글0
현대차그룹, 루이지애나 제철소 절반 외부 투자자와 지분 출자 협의 중
연합뉴스

미 조지아주 서배너 엘라벨에 위치한 HMGMA
(엘라벨[미 조지아]=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미국 조지아주 서배너 엘라벨에 위치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2025.3.30 [현대차그룹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국내 1위 철강업체 포스코가 현대제철이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건설할 예정인 전기로 제철소에 대해 지분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의 투자가 현실화하면 국내 1·2위 철강 업체가 나란히 관세 장벽을 돌파하기 위해 미국 현지에서 손을 맞잡는 '빅딜'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2기가 이미 철강 제품에 25% 고율 관세를 매겨 미국 시장 진입 장벽을 높인 가운데, 수년째 중국발 공급 과잉과 내수 부진에 시달려온 국내 철강 업계가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한 전략적 선택에 나선 것으로도 해석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현대제철 미국 제철소에 대한 지분 투자를 비롯해 미국 투자와 관련해 다양한 전략적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오는 2029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전기로 제철소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동차강판에 특화한 이 제철소는 연간 270만t 생산 규모를 갖출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이 제철소에 대한 투자금 총 58억달러(8조5천억원) 가운데 절반은 외부 차입으로 충당하는 방안을 검토 중으로, 현대제철 등 계열사 및 기타 투자자와 지분 출자를 협의 중이다.

연합뉴스

오늘부터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시행
(화성=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가 시행되는 12일 경기 화성시의 한 알루미늄 제품 제조업체 공장에서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2025.3.12 hwayoung7@yna.co.kr


이런 가운데 포스코가 현대제철의 유력한 투자 파트너로 거론되는 것이다.

포스코도 미국을 전략적 핵심 시장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전체 철강 수출액 중 미국 비중은 약 13%였으며 포스코 등 국내 철강사들도 같은 해 미국에 약 50만t 규모의 열연강판을 수출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가 무역확장법 232조를 통해 한국산 철강에 연간 263만t 규모의 무관세 수출 쿼터를 설정한 데 이어 트럼프 2기 들어서는 25%의 고율 관세까지 부과하면서 미국 수출은 포스코에도 부담 요인이다.

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인도와 북미 등 글로벌 성장 시장에서 소재부터 제품에 이르는 완결형 현지화 전략으로 성과를 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고율 관세 부담을 줄이고 미국 내 철강 수요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려면 포스코가 현대제철의 미국 제철소 투자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업계 관측이다.

포스코그룹이 지난해 광양제철소에 연산 250만t 규모의 전기로 공장을 착공해 2026년부터 본격 가동에 나설 예정인 점도 현대제철과의 협업 가능성을 뒷받침한다는 분석도 있다.

포스코가 광양 전기로 공장에서 구현하려는 산화철 기반 전기로 공정이 완전한 탄소중립 기술인 수소환원제철(HyREX)로 가는 과도기적 브릿지 기술로 평가된다는 점에서다.

다만 포스코그룹은 현대제철과 손잡고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방안에 대해 "미국 투자와 관련해 다양한 전략적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현시점에서 확정된 바는 없다"고 말했다.

wis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뉴스타파'한동훈-기자' 카톡에 '언론플레이 및 질문 사주’ 흔적들
  • 뉴시스구글 분할 위기에 20번째 생일에도 마냥 웃지 못한 유튜브
  • 뉴스1'관세 후폭풍' IMF, 올해 韓 성장률 전망 2%→1% 반토막
  • 파이낸셜뉴스"수익성 치명적 타격"...'기회의 땅' 인도에서 삼성·LG '폐기물 리스크'에 소송전 가담
  • 뉴스핌예정처 "12.2조 추경안으로 성장률 0.13%p↑…소상공인 지원 미흡"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