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Let's 스타트업] "저작권·초상권 문제 없는 AI 이미지 생성 지원해요"

0
댓글0
매일경제

최근 지브리 열풍으로 인공지능(AI) 생성 이미지 저작권 논란이 다시 불거지는 가운데 기술적으로 저작권 문제를 원천 차단한 국내 스타트업 솔루션이 주목받고 있다. AI 기반 커스텀 모델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드래프타입'은 패션업계를 중심으로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최근 매일경제와 만난 김대희 드래프타입 대표(사진)는 "많은 기업이 비용 문제 등으로 AI 모델을 도입하고 싶어하지만 저작권·초상권 리스크 때문에 망설이는 사례가 많다"며 "드래프타입은 현재 명확한 규제가 없더라도 미래 환경까지 고려해 기술적으로 철저히 준비한 솔루션"이라고 강조했다. 드래프타입이 수많은 AI 모델 이미지를 생성하고도 저작권 문제를 피해갈 수 있는 이유는 실존 인물의 레퍼런스 이미지를 직접 '학습'하지 않고 '참고'만 하는 3D 모델링 방식을 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체 개발한 3D 모델링 기술을 통해 가상인물을 먼저 만든 뒤 이를 2D 이미지로 변환하는 구조다.

3D 모델링 과정에서는 인물의 명암이나 이목구비 등을 AI로 자동화해 구축하고 이후 피부톤·눈동자·입술·헤어 등을 설정한 다음 최종 모델을 완성한다. 김 대표는 "드래프타입은 국내 최초로 생성형 AI 기반 커스텀 모델 특허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특허 기술로 생성된 인물 이미지는 실제 사람과 거의 차이가 나지 않을 만큼 자연스럽다. 고객사들은 자사만의 전용 3D AI 모델을 보유할 수도 있다.

드래프타입은 QR코드형 자체 비식별 워터마크 특허 기술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모든 생성 이미지에 적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고객사가 직접 워터마크를 추가할 수 있게 기능을 업데이트해 개별적인 저작권 보호를 지원하고 있다. 이처럼 기술적으로 안심할 수 있는 기반을 바탕으로 드래프타입은 창업한 지 2년도 되지 않아 비케이브 등 고객사 약 7800곳을 확보했다. 올해부터는 식음료(F&B) 등 다양한 분야의 광고 콘텐츠 제작으로도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안선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뉴시스中게임사들이 '미르2'로 수천억원 꿀꺽한 꼼수는
  • 아주경제SK텔레콤에 악성코드 공격, 가입자 유심(USIM) 정부 일부 유출...정부, 합동수사
  • 디지털데일리TLS 인증서 수명 47일로 단축…'자동 관리' 최대 과제로
  • 디지털투데이케이씨, 자회사 케이씨텍 공개매수 착수…독자 지배력 강화 목적
  • 조선비즈“AI 반도체 발열 잡는 냉각 기술로 승부…수랭식 한계 극복”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