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이사철에 우르르 문 열던 부동산 어디로…25년만에 최저치 찍었다

0
댓글0
1~2월 신규개업 1796명…1000명대 처음
매매시장 침체·공인중개사 포화 등 요인
올해 개업한 공인중개사 수가 2000년 이래 25년 만에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올해 2월까지 신규 개업한 공인중개사는 1796명으로 2000년 이래 1~2월 기준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월 신규 개업한 공인중개사 수는 871명이었고, 2월은 925명이었다.
아시아경제

서울 시내 한 공인중개사 사무실의 모습. 강진형 기자


최근 10년간 매년 1~2월에 개업한 공인중개사 수를 보면 2016년 3844명, 2017년 4486명, 2018년 4260명, 2019년 3353명, 2020년 3972명, 2021년 3306명, 2022년 3473명 등으로 3000~4000명대였다. 이후 2023년 2496명으로 줄어든 뒤 지난해 2008명까지 떨어졌다. 그 이전인 2000~2015년 같은 시기의 신규 개업자는 연간 시험 횟수나 합격자 수 등으로 인한 변동은 있었지만, 최소 2500명으로부터 많게는 6000명에 이르렀다. 신규 개업자 수가 1000명대에 그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협회 측은 "올해 개업중개사 수가 이례적으로 적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연초인 1~2월은 통상적으로 봄철 이사 수요를 노리고 개업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계절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올해 이 시기에는 개업 공인중개사가 많이 늘어나지 않은 이유는 전반적인 부동산 매매시장이 침체한 가운데 공인중개사 수가 포화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체 개업 공인중개사 수는 2023년 2월 11만7923명을 기록한 뒤 매월 줄어들어 작년 2월에는 11만1756명까지 내려앉았다.

공인중개사 업황이 부진하다 보니 공인중개사 시험 응시생도 크게 줄고 있다. 지난해 응시자는 15만4669명으로 8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이 시험 응시자가 20만 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17년 이후 처음이다.

협회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정부 차원의 부동산 시장 활성화 정책이 나오지 않는 한 이러한 감소 추세는 계속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폐업하고 싶어도 권리금을 회수하지 못해 울며 겨자 먹기로 사무소를 유지하는 분들도 있다"고 말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경향신문정권 바뀌면 다시 ‘불장’?···‘빚 내서 집 사기’ 서두르는 2030 무주택자들
  • 세계일보배민, 포장 수수료 받으면서 안내는 금지?…‘공지 검열’에 업주들 반발
  • 서울경제IMF "韓 올해 성장률 2.0→1.0%"···주요국 중 가장 많이 내렸다[Pick코노미]
  • 비즈워치'시몬스·에이스' 양강체제…침대시장 균열 가능할까
  • 연합뉴스뉴욕증시, 美·中 무역협상 낙관론 부상…동반 급등 마감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