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홍콩 원정출산' 가는 中 임산부들…"입경 거부 5년새 5배 증가"

0
댓글0
중앙일보

홍콩 록마차우 입경 검문소. 연합뉴스


출산을 위해 홍콩을 찾는 ‘비(非)홍콩인 임산부’ 숫자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다시 증가하고 있다.

홍콩 출입경당국에 따르면 작년 홍콩 호적이 없는 임신 여성 1154명이 입국(입경)을 거부당해 2020년(227명)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고 13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이는 2020년 입국 거부자에 비해 5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홍콩 법원은 2001년 홍콩에서 태어나는 신생아에게 거주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이후 2012년까지 약 20만명의 아기가 중국 본토인의 원정출산으로 태어났다. 이에 본토인들이 몰려들면서 산부인과 병실이 모자란 상황까지 벌어졌다.

홍콩 정부는 2013년부터 홍콩 병원 예약을 하지 않은 비홍콩인 임신 여성(28주 이상)의 입경을 막아왔다.

그러나 비홍콩인이 홍콩에서 아기를 낳는 사례는 꾸준히 늘고 있다.

2019년 비홍콩인 여성의 홍콩 내 출산 건수는 4426건이었고 이 가운데 3741건(84.5%)이 중국 본토인 출산이었다.

이 수치는 2020년 2천498건을 기록한 뒤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인 2021∼2023년 2000건 아래로 떨어졌다가 작년 다시 2396건(중국 본토인 비중은 78%)으로 증가했다.

입국을 시도했다가 실패한 사례는 더 많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본토 임산부 4만9709명이 홍콩 입경을 차단당했다. 2022년 입경 거부 임신 여성은 498명이었는데 2023년엔 2만6명으로 40배 증가했다.

홍콩 정부는 팬데믹과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속에 인력이 감소한다는 지적이 나오자 2022년 말 세계 100대 대학 졸업자 등에게 2년짜리 취업 비자를 내주는 ‘고급 인재 통행증 계획’을 시행했는데, 홍콩에서 아이를 낳으려는 중국 본토인들이 이 제도를 이용한 것이다.

홍콩 당국은 ‘고급 인재 통행증 계획’을 통해 비자를 얻은 사람이 신고한 사유와 다른 여행 목적(출산 등)을 가질 경우 홍콩 입경이 불허될 수 있다고 경고하는 한편, 본토에서 온 온 여성들에 대한 조사를 강화했다.

하지만 중국 소셜미디어에서는 이 단속을 피해 가는 요령이 최근에도 공유되고 있다고 SCMP는 보도했다.

정시내 기자 jung.sinae@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파이낸셜뉴스기업가치 19년 동안 333배 늘어 785조원된 기업?
  • 연합뉴스TV"두 좌석 요금 내라" vs "차별이다"…비만 승객 항공권 요금 논란
  • 이데일리젤렌스키만 때리는 트럼프…美 우크라 평화협상 중재 난항
  • 뉴스1'문잠겨 사망 논란' 화재사고 후…샤오미 전기 SUV 출시 지연
  • 머니투데이"과체중 승객은 자리 2개 사라"…비행기 티켓값 논쟁 부른 이 사진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