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애플, 탈중국 가속화…인도서 아이폰 생산 60% 확대

0
댓글0
지난 1년간 인도서 220억달러어치 조립…5대중 1대
트럼프,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 관세서 면제했지만
펜타닐 단속 빌미 대중 관세 20%는 여전히 유효
"다른 기업들도 공급망 전환 강화…美이전은 어려워"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애플이 지난 1년 동안 인도에서 아이폰 생산량을 60%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 집중된 공급망을 다각화하려는 노력이다. 애플은 물론 다른 기업들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응해 탈(脫)중국 흐름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데일리

(사진=AFP)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12개월 동안 인도에서 220억달러(약 31조 3800억원) 상당의 아이폰을 조립했다. 이는 전년대비 60% 늘어난 금액으로, 매장에서 판매되는 소매 가격이 아닌 공장 출고 시점의 출하 가격을 토대로 산출한 것이다.

이에 따라 애플이 현재 인도에서 생산하는 아이폰 비율은 20%로 확대했다. 고급형인 티타늄 프로 모델을 포함해 모든 아이폰 라인업이 인도에서 조립되고 있으며, 대부분은 인도 남부 폭스콘 공장에서 이뤄진다. 블룸버그는 “애플과 공급업체들이 중국에서 인도로의 생산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짚었다.

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한 지난 2월 이후 인도에서 미국으로의 아이폰 수출도 급증했다. 인도 기술부 장관도 지난 8일 애플이 같은 기간 1조 5000억루피(약 24조 8250억원) 상당의 아이폰을 수출했다고 밝혔다.

애플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응해 인도에서 생산된 제품을 미국에 우선 판매하겠다는 방침이다. 지난 9일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애플은 전세기 6대를 동원해 아이폰 약 150만대, 600톤 분량을 인도에서 미국으로 긴급 공수하기도 했다.

애플의 인도 생산 확대 추세는 앞으로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1일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포함한 전자제품은 기본관세 및 상호관세에서 면제하겠다고 발표했으나, 펜타닐 단속을 이유로 별도 부과한 대중 관세 20%는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다.

즉 현재 인도에서 생산된 아이폰에는 관세 부과되지 않지만, 중국에서 만들어진 제품에는 20%의 추가 관세가 적용된다는 의미다. 이에 애플은 향후 인도에서 생산된 아이폰의 미국 시장 공급량을 더욱 늘릴 것으로 알려졌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정부 역시 보조금 지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발을 맞추고 있다.

블룸버그는 “애플과 같은 기업들은 (중국에서 벗어나기 위한) 공급망 전환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애플의 공급업체가 거의 200개에 달하는 데다,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다른 국가로의 생산기지 이전은 수년이 걸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는 야심을 내비치고 있지만, 시설이나 인력, 비용 등의 문제로 현실화할 가능성은 낮다”고 꼬집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2022년 기준으로 애플의 생산 능력 중 10%를 중국에서 이전하는 데 8년이 걸릴 것으로 추산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아이뉴스24[시승기]한 번 충전에 533km⋯차세대 전기 세단 기아 'EV4'
  • 연합뉴스한국 경제 세 분기만에 또 뒷걸음…1분기 성장률 -0.2% '충격'(종합)
  • 머니투데이나트륨 배터리 시대 기다린다…애경케미칼의 미래 먹거리 '하드카본'
  • OSEN포르쉐 AG, 포르쉐 911 스피릿 70 공개 [상하이 모터쇼]
  • 노컷뉴스[단독]MBK 스모킹건은 '내부 이메일'…김병주 등 8명 고발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