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PC 점유율 '미미'…AI PC로 새 기회
미국 정부의 노트북, 컴퓨터에 대한 상호관세 제외 결정이 삼성전자와 LG전자 전체 PC사업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이 시장 글로벌 선두를 다투는 HP, 델, 애플 등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도 인공지능(AI) PC 중심의 시장 확대 전략을 이어갈 수 있게 됐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지난해 제조사별 연간 전체 PC 시장 점유율을 레노버(25.5%), HP(21.6%), 델(16.1%), 애플(9.2%), 에이수스(7.1%), 에이서(6.9%) 순으로 집계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1% 안팎 수준이다.
◇스마트폰, 애플 '보호'에 삼성 '반사이익'
기존 상호관세 최대 피해자로 지목되던 애플과 삼성전자는 이번 조치로 인해 한시름 놓게 됐다. 스마트폰 관세 부과 대상 제외 결정 배경에는 애플의 영향력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애플은 전체 아이폰 생산량의 약 90%를 중국에서 조립·생산하고 있어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가격을 인상할 수밖에 없었다. 실제 아이폰16 프로맥스 미국 출고가가 기존 1199달러(약 174만원)에서 최대 2938달러(약 425만원)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됐다.
관세 부과가 현실화되면 애플 아이폰 이용자 등 미국 소비자 부담뿐만 아니라 자국 대표 기업인 애플이 가격 경쟁력을 잃고 삼성전자에 밀릴 가능성도 있었다. 베트남을 주력 생산기지로 둔 삼성전자는 애플보다 상대적으로 관세 부담이 적은 구조였다. 애플을 보호하려는 미국 정부의 판단이 삼성전자에도 반사이익으로 작용한 셈이다.
◇반도체, 일부 불확실성 축소…최종 결정은 14일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에 이어 D램 모듈,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와 같은 완제품, 그리고 이들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제조장비 등을 상호관세 예외 대상으로 추가 지정했다. 미국 빅테크의 AI 인프라 투자와 자국 내 반도체 공장 유치 정책을 고려해 수위를 낮춘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한국, 중국을 중심으로 메모리 칩과 모듈을 생산하던 삼성전자, SK하이닉스도 한시름을 놓게 됐다. 이들 기업은 현재 미국 내 메모리 제조시설이 없다. 반도체 제조장비에 대한 상호관세 면제도 국내 기업들의 미국 반도체 공장 투자 부담 감소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다.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 품목 관세 부과 관련 최종 입장을 14일 내놓을 예정이다. 당초 25% 수준의 관세 부과를 예고했는데 최종 고객인 빅테크 기업들의 부담이 커지는 만큼 이를 고려한 결정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박태호 광장 국제통상연구원장은 “미국 내 생산자 단체들이 반대 의견을 내면서 관세 정책에 변화가 생긴 것”이라면서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제조업 부활, 무역수지 개선 등을 위한 정책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한국도 이에 맞춰 파트너로서의 지위를 다져야 충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미국 상호관세 제외 품목(출처:미국 세관 및 국경보호청) |
박진형 기자 jin@etnews.com,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 남궁경 기자 nkk@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