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다른 나라에 미 무역적자 탓 하는 트럼프…한국 대미 수출 구조 들여다보니

0
댓글0
경향신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의 무역적자를 상대국의 ‘관세 장벽’ 탓으로 돌리며 무차별 ‘관세폭탄’을 퍼붓는 가운데,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양국 산업 간 상호보완적 구조에서 비롯된 정당한 성과라는 분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13일 ‘한국 대미 수출의 구조적 분석: 수지 불균형을 넘어선 산업 연계 구조’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며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수지를 숫자로만 해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정교한 산업적 맥락의 이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미국이 대중국 무역 제재를 본격화한 2015년 이후부터 미국의 한국산 수입은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중국산 수입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한국무역협회와 미국국제무역위원회(USITC)에 따르면 반도체, 철강, 2차전지, 석유제품 등 대표적인 중간재의 대미 수출은 2020∼2024년 사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 기간 대미 수출 증가율은 반도체 43.2%, 철강 94.6%, 2차전지 216.8%, 석유제품 119.6% 등으로 집계됐다. 반면 미국의 중국산 수입은 2015년 5040억달러에서 2019년 4725억달러, 2023년 4626억달러로 감소했다.

이는 미국의 대중국 견제와 한국의 대미 투자가 맞물려 나타난 변화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한국 기업들의 대미 직접투자가 확대되면서 ‘한국산 산업재 조달 → 중간재 및 자본재 수출 증가 → 산업 연계성 강화’로 이어지는 구조가 형성됐다는 것이다.

한국의 대미 그린필드 투자도 급증했다. 2014년 400억달러에 못 미쳤던 누적 투자액은 2023년 기준 1300억달러에 육박했다. 같은 기간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 수는 1만1101개사에서 1만5876개사로 43% 늘었다. 그린필드 투자는 현지에 공장, 연구소 등 새로운 사업 시설을 새로 짓는 것을 의미한다.

보고서는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필요한 중간재를 점차 현지에서 조달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실제로 이들 기업의 현지 매입 비중은 2020년 28.3%에서 2023년 32.1%로 증가했다. 이는 한국의 대미 투자가 미국 산업의 공급망과 더욱 밀접하게 연결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보고서는 한국의 대미 수출 확대의 실질적인 역할과 기여가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한국산 중간재와 자본재는 미국 제조업의 생산 활동을 뒷받침하는 핵심 투입 요소로 오랜 기간 기능해왔다”며 “이들 품목의 수출 확대에 따른 무역흑자는 한국 수출이 미국 산업 성장에 기여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향후 통상 협상에서도 이러한 논리를 바탕으로 주도적이고 전략적인 대응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진주 기자 jinju@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 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뉴스핌[종합] 정부 '12.2조 추경'에…민주당 "규모·시기 모두 실패…지역화폐 넣어야"
  • 아주경제[르포] 싱크홀 공포감 고조...지하 5층 '영동대로 복합터미널' 공사 현장 가보니
  • 서울경제"엔비디아 필요없다"···中, AI칩 자립 속도
  • 메트로신문사韓·中, 차세대 배터리 기술 경쟁…꿈의 배터리 vs 대체기술
  • 연합뉴스"수변도시는 김제 땅" 결정에 새만금 관할권 분쟁 마무리 수순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