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명문대 출신·2030女에 속았다”…‘2600억 사기극’에 당한 美 최대 은행, 대체 무슨 일?

1
댓글0
헤럴드경제

지난 달 2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 연방법원에서 사기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찰리 재비스(32). [로이터 연합뉴스]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세계 최대 투자은행 JP모건 체이스가 20대 창업가에게 수천억원대 규모의 사기를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리콘밸리 역사상 최악의 사기로 꼽히는 ‘테라노스’ 사건에 이어 또 다시 명문대 출신을 내세운 대규모 사기 사건이 발생해 미국이 충격에 빠졌다.

13일 외신에 따르면, 지난 달 28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 연방법원은 학자금 대출 관리 스타트업 프랭크의 최고경영자(CEO) 찰리 재비스(32)에게 유죄 판결을 내렸다.

재비스는 JP모건에 고객 수를 조작한 뒤 무려 1억7500만 달러(약 2600억원)에 인수하게 한 혐의를 받았다. 이번 판결로 재비스는 최대 30년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다.

불과 3년 전까지만 해도 재비스는 촉망받던 아이비리그 출신의 창업가로 꼽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재비스는 뉴욕시의 부유한 프랑스계 이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에서 금융학을 전공했다. 졸업 후 재비스는 대학재정 지원을 간소화하는 프로그램을 만들며 본격적으로 창업에 나섰다.

와튼스쿨에서의 인맥을 바탕으로 유명 벤처 캐피털로부터 수백만 달러의 투자를 받았다. 경제방송인 CNBC 뉴스에 출연하며 유명세를 얻었고, ‘프랭크’를 매각해 포브스의 ‘30세 미만 젊은 창업가 30인(30 언더 30)’에도 선정되기도 했다.

JP모건은 재비스가 유망한 창업가로 거듭난 뒤 캐피털 원, 디스커버, 씨티은행 등과 경쟁 끝에 2021년 여름께 프랭크를 인수했다. 이후 재비스는 JP모건 전무이사로 임명돼 학생 관련 프로젝트를 총괄했다.

그런데, 이는 사기극인 것으로 드러났다.

JP모건은 인수한 지 1년도 안돼 프랭크의 고객 정보가 조작됐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뉴욕 검찰은 재비스와 프랭크의 또 다른 임원인 올리비에 아마르가 JP모건에 조작된 고객 정보를 제공했다고 했다.

재판 과정에서 재비스가 프랭크의 직원에게 데이터 조작을 지시했으나 직원이 이를 거부했고, 이에 1만8000달러(약 2600만원)를 주고 외부 연구원을 고용한 정황도 밝혀졌다.

실제로 30만명이었던 고객은 425만명으로 부풀려진 것으로 드러났다.

재비스 측은 “JP모건이 프랭크의 고객 수를 알고 있으면서도 인수했고, 미 교육부의 학자금지원신청(FAFSA) 방식이 변경되자 이를 문제 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JP모건은 인수 당시 제3의 업체를 통해 프랭크의 고객 데이터를 확인했지만, 이상한 점을 찾지 못했다고 반박했다.

헤럴드경제

2015년 11월 2일 미국 센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포춘 글로벌 포럼’에서 엘리자베스 홈즈 테라노스 CEO가 연설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한편, 이번 사기극은 테라노스의 엘리자베스 홈즈(41) CEO을 떠올리게 하고 있다.

홈즈는 헬스케어 스타트업 테라노스를 설리한 뒤 “피 한방울로 250여 종의 질병검사가 가능하다”고 홍보했지만, 이는 거짓으로 드러났다.

홈즈는 지난 2022년 징역 11년을 선고받고 복역중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전체 댓글 보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SBS전파 방해 안 통하는 '광섬유 드론'…우크라전 전장 '악몽'
  • 경향신문정부는 애도했지만 중국 가톨릭 단체 교황 선종에 사흘째 침묵…왜?
  • 프레시안'CEO 리스크' 테슬라 1분기 순이익 71% 급감…머스크 "정부 활동 줄일 것"
  • 뉴스1노스트라다무스, 교황 선종 예언?…"늙은 교황 가고 검은 교황 온다"
  • YTN이중 붕괴의 서막...디플레이션과 관세 사이의 중국 경제 [한방이슈]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