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광고 보면 돈 준다" 속여 수백만원 편취…사기에 속지 마세요

0
댓글0
올해 들어 인터넷 사기 폭증
미션을 가장한 부업·알바 광고
사이트 가입시켜 금전 편취
# 피의자 A씨는 지난달 틱톡에서 부업·아르바이트를 보고 연락한 피해자에게 특정 대화형 앱을 설치하게 한 후 단체 채팅방에서 '팀 미션'이라는 투자를 가장한 행동을 시켰다. A씨는 피해자의 실수로 미션 수익금을 받을 수 없게 됐다며, 고액 미션에 참여하기 위한 돈을 먼저 입금해야 한다면서 특정 사이트에 가입시켰다. 또 부업 아르바이트와 관련 없는 미션을 하게 한 후 미션 참여비 명목으로 총 3회에 걸쳐 750여만원을 편취했다.
아시아경제

올해 1분기 인터넷 사기 정보가 전년 동기 대비 81%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부업·아르바이트 모집 등 인터넷상의 사기 수법에 대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주의를 당부했다.

방통심의위는 13일 신종 사기인 부업·아르바이트 사기 범죄 수법 사례를 공개하고 이와 관련된 주의를 당부했다.

올해 1분기 방통심의위가 시정 요구한 인터넷 사기 정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81% 증가한 총 67건이다. 폭증하는 인터넷 사기에 특히 경제적 취약계층의 주의가 요구된다.

부업·아르바이트 사기는 ▲팀 미션이라는 투자를 가장한 활동을 시키고 ▲피해자의 실수를 유도하며 ▲부업과 관련 없는 고액 미션이라는 행위를 통해 참여비 및 수수료 명목으로 금전을 편취하는 사기 수법이다.
아시아경제

SNS 내 짧은 영상 광고 등을 보고 연락해온 피해자들에게 '미션'이라는 명목으로 동영상 시청, 광고 화면 캡처 등 관련 없는 행위를 시키고, 사기에 이용되는 사이트에 가입시켜 금전을 편취하는 형태다.

일례로, 피의자 B씨는 지난해 12월 인스타그램에서 부업·아르바이트 광고를 보고 연락한 피해자에게 "유튜브에서 특정 광고를 5초 이상 보고 캡처 사진을 보내주면 건당 1000원을 지급한다"고 속였다.

이를 실행한 피해자에게 비용을 받으려면 고수익 미션에 참여해야 한다고 유인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사이트에 가입시키고 "포인트 충전으로 투자 미션에 참여하면 아르바이트 비용과 수익을 받을 수 있다"고 속여 총 4회에 걸쳐 570여만원을 편취했다.

방통심의위는 인터넷 사기 피해확산 방지를 위해 이러한 범죄 수법 등을 구체적으로 기술한 심의사례를 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주기적으로 공개하고 있다. 추가 사례는 방통심의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플래텀[BLT칼럼] AI가 훔친 화풍? 지브리풍 생성 이미지의 저작권과 윤리
  • 매일경제“3일 걸리던 걸 3시간만에”…AI덕에 고품질 콘텐츠 마케팅 시대 열렸다
  • 테크M"中 텐센트가 밀어준다" 대륙서 700만 대기열 모은 시프트업 니케...5월 기대감 '쑥'
  • 메트로신문사“나도 모르는 개인정보, AI는 알고 있다”
  • 경향신문구글, 삼성에 매달 거액 ‘뒷돈’ 주고 있었다…대가는 ‘제미나이 탑재’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