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쏘 EV 전면부. 이정인 기자 |
‘스포츠유틸리티차(SUV)와 픽업트럭의 중간 어디쯤?’
KG모빌리티의 새로운 픽업트럭 무쏘 EV를 타보고 든 생각이다. 무쏘 EV는 패밀리카로도 손색없는 면면을 갖춰 ‘투박한 차’라는 픽업트럭에 대한 고정관념을 깼다.
기자는 얼마 전 서울 강남구에서 양평 양수리까지 약 65㎞ 구간을 왕복하며 무쏘 EV의 매력을 직접 느껴봤다.
무쏘 EV 2열. 이정인 기자 |
내부는 기대 이상이었다. 특히 2열 공간이 인상적이었다. 보통 픽업은 2열이 좁고 불편해 패밀리카로는 2%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데 무쏘 EV는 중형 SUV 이상의 편안함과 넉넉한 공간성을 제공한다.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모델 이상 수준인 850mm의 커플 디스턴스를 확보해 여유로운 레그룸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2열 80mm 슬라이딩 및 32도 리클라이닝 기능이 장착돼 장거리 가족여행도 무리 없어 보였다.
무쏘 EV 1열. 이정인 기자 |
1열에서는 12.3인치 크기 스크린 2개가 나란히 붙은 파노라마 와이드 스크린이 눈에 들어왔다. 수평형 센터페시아에는 비상등과 기어 조작 버튼만 남기고 물리버튼을 없애 깔끔했다. 다만 드라이브 모드 물리버튼이 없어서 주행 중 변경이 어렵다는 점은 아쉬웠다. 성능이 떨어지는 KGM 링크 내비게이션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도 단점으로 꼽을 수 있다.
무쏘 EV 측면. 이정인 기자 |
주행성능은 만족스러운 수준이었다. 전기차 특유의 치고 나가는 주행감이 느껴졌다. 시승한 이륜구동(2WD) 모델은 152.2㎾의 전륜 구동 모터와 감속기로 최고출력 207마력, 최대토크 34.6kgf·m를 낸다.
자동차관리법상 화물차로 분류되는 픽업인 만큼 승차감은 큰 기대를 하지 않았지만 여느 SUV 못지않은 부드러운 주행 질감으로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었다.
정숙성도 픽업에서 기대한 것 이상으로 뛰어났다. 무쏘 EV에는 각 필러(창문 옆 기둥)에 발포 패드 흡음재가 최대로 적용됐고, 하부와 루프에도 노면 및 빗소리 차단 장치가 적용됐다.
무쏘 EV 데크. 이정인 기자 |
픽업트럭의 상징인 데크 공간도 충실했다. 최대 500㎏까지 적재할 수 있어 업무용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캠핑 장비, 서핑보드, 바이크 등 레저활동에 필요한 장비도 여유롭게 실을 수 있다. 특히 데크 스타일을 높이기 위해 데크톱, 롤바, 데크 슬라이딩 커버가 신규 적용됐고, 다양한 패키지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배터리 효율성은 공식 스펙보다 우수했다. KGM에서 밝힌 무쏘 EV의 복합 전비는 킬로와트시(㎾h)당 4.2㎞다. 하지만 이날 기자가 주행했을 때 전비는 ㎾h당 6㎞ 내외를 기록했다. 배터리는 10% 정도 소모됐다. 단 주행 습관이나 환경에 따라서 주행거리가 달라질 수 있고, 픽업트럭인 만큼 데크에 화물을 실으면 전비가 나빠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정인 기자 lji2018@sportsworldi.com
ⓒ 스포츠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