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하이퍼로컬 넘어 슈퍼앱 관문으로…네카오, 지도 앱 경쟁 가속

0
댓글0
국내 대표 지도 앱인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맵이 이용자 확대를 위한 기술 고도화와 기능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기 위한 인공지능(AI) 기술 도입과 직관적 인터페이스(UI) 개편, 목적별 정보 접근성 개선이 두 앱 모두의 공통 전략으로 떠올랐다.

13일 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와 카카오가 지도 서비스 이용자 확대를 위한 기술 고도화에 힘쓰고 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네이버 지도 앱 MAU는 2650만1574명이다. 카카오맵의 경우 월간활성이용자수(MAU)가 1171만 명을 기록해 전월 대비 10.8% 증가했다.

두 앱 모두 AI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생활밀착형 기능을 강화하며 서비스 다변화에 주력하고 있다. 네이버 지도는 LLM 기반 AI 요약 기술과 외국인 맞춤형 접근성 강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카카오맵은 하이퍼로컬 서비스와 카카오톡 연계를 통한 연결성 강화를 중점으로 하고 있다.

메트로신문사

네이버 지도는 올해 MAU 3000만명 달성을 목표로 AI 기술 도입과 외국인 이용자 편의성 강화를 추진 중이다. 네이버는 상반기 중 식당, 숙박, 관광지 등 장소 리뷰를 자동으로 요약해 제공하는 플레이스 특화 AI 기능을 도입할 계획이다. 해당 기능은 도메인별 키워드(맛, 분위기, 시설 등)를 추출하고, 거대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핵심 정보를 자동 요약해 직관적인 장소 선택을 돕는다.

운전자 편의를 위한 기능도 개선됐다. 목적지 주변 주차장 검색, 주차 요금 확인, 예약·결제, 도착 예정 시각에 맞춘 영업 여부 안내 등이 대표적이다. 네이버맵은 내비게이션 점유율이 낮지만, 다양한 차량 이용 기능 확장을 통해 점유율 확대를 노리고 있다.

외국인을 위한 기능도 늘었다. 지난해 말부터는 한국어 리뷰와 필터에 대해 영어·중국어·일본어 번역이 적용됐으며, 네이버페이 상거래 이용 시 필수였던 실명 인증도 별도 인증 방식으로 대체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메트로신문사

카카오맵은 전문가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전문가 프로필' 기능을 도입해 동네 기반 생활 서비스로서의 하이퍼로컬 전략을 본격화했다. 이용자는 카카오맵에서 '전문가' 키워드 검색 후 자격 인증이 된 전문가 정보를 확인하고, 카카오톡 '예약하기' 기능과 연동해 상담·예약까지 진행할 수 있다.

실시간 교통 편의 기능도 강화됐다. 지난 1월부터 공항철도 노선에 객차별 혼잡도를 시각화해 제공하며, 공항 이용객들에게 실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이 외에도 검색 결과를 지도뷰·목록뷰·듀얼뷰로 나눠볼 수 있도록 UI를 개편하고, 숙박 필터 기능, 전기차 충전소·주유소·주차장 정보 등 생활 밀착형 정보를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두 기업의 지도 앱 전쟁 배경에는 지도 앱의 '하이퍼로컬'을 슈퍼앱 생태계로 이어가겠다는 청사진이 깔려 있다. 지도에서 출발해 예약, 상담, 결제, 리뷰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은 각사 플랫폼의 주요 서비스로 연결되며, 이탈률을 낮추는 핵심 축이 된다.

또 지도 앱은 고정밀 위치 정보와 이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추천, 상권 분석, 광고 타깃팅 등에 활용 가능한 '데이터 허브'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네이버는 외국인 관광객을 겨냥해 지도 기반 상거래 기능을 강화하고 있으며, 카카오는 AI 기반 지역 추천 서비스 'AI 메이트 로컬' 연동을 예고했다.

업계 관계자는 "지도 앱은 더 이상 단순한 길찾기 수단이 아니라, 생활 소비의 시작점이자 모빌리티·상거래·AI를 잇는 핵심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네이버와 카카오의 지도 경쟁은 플랫폼 주도권을 둘러싼 전초전 성격이 짙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테크42‘트럼프 관세’ 삼성전자가 애플보다 유리한 이유
  • 중앙일보‘군살 뺀 인공지능’ 선보인 네이버, AI 주도권 잡기 승부수
  • 전자신문[WIS 2025] AI가 이끄는 디지털 대전환의 장 펼쳐진다
  • 이데일리비트코인 소폭 상승, 9만 3000달러대 거래
  • 이투데이혈세 '1조 원' 투입된 韓 지도 데이터…관세 카드로 구글에 넘어가나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