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혼자 살면 결혼한 사람보다 치매 위험 낮아"…기존 연구 뒤집혔다

0
댓글0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연구 결과 최근 공개
“미혼자가 기혼자보다 사회적 교류 많아”
결혼하지 않은 사람들이 결혼한 사람들보다 치매 위험도가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기존 통념을 뒤집은 것이라 눈길을 끈다.

최근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연구진은 미국 알츠하이머병 협회 학술지 '알츠하이머병과 치매'(Alzheimer's & Dementia)에 이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미국 전역에 있는 국립 알츠하이머 협력센터(National Alzheimer's Coordinating Center, NACC)에 등록된, 치매가 없는 50~104세(평균 72세)의 성인 2만4107명을 최대 18년 동안 매년 평가했다. 훈련된 임상의가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해 매년 인지기능을 평가했고 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내렸다.

매년 참가자들은 인지 상태에 대한 신경 심리학적 검사와 함께 임상의의 평가를 받았다.

아시아경제

픽사베이


그 결과 결혼 전력이 없는 미혼자가 기혼자에 비해 치매 발병 위험이 4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혼자와 사별한 사람도 각각 34%와 27% 낮았다.

그간의 연구들에서는 결혼한 사람이 미혼자나 사별한 사람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낮으며 치매 예방 전략으로 미혼자와 사별한 사람의 사회 고립을 최소화하고 적극적인 사회 활동을 유지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해왔다.

2017년 영국 런던 대학교 연구진은 미혼자가 기혼자에 비해 치매에 걸릴 위험이 42% 높다고 발표한 바 있다. 2023년 노르웨이 연구진도 이혼자나 미혼자의 치매 진단 위험이 결혼한 사람보다 50~73% 높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구의 저자인 셀린 카라코세 박사는 "결혼한 적이 없는 사람은 친구 및 이웃과 교류할 가능성이 더 높고 결혼한 사람보다 건강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면서 "웰빙과 사회적 유대감의 긍정적인 측면이 시간이 지나면서 치매에 대한 보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독신자들이 더 자립적인 면이 있다는 점이 인지 능력을 더 잘 유지하는 부분을 설명하는 데 참고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아시아경제삼성SDS, 1분기 영업이익 2685억원…전년동기比 19% 증가
  • 벤처스퀘어엑스엘에이트, ‘월드IT쇼 2025‘서 AI 통역 자막 솔루션 이벤트캣 공개
  • 디지털투데이에이비엘바이오,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임상 1b·2상 FDA 승인
  • 플래텀"말뿐인 창업국가를 넘어" 스타트업이 그리는 'Scale-up Korea' 청사진
  • 이데일리"FDA 규제는 권한 남용" 판결, 美 진출한 진단업계 영향은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