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후 7시쯤 광주 무진대로 광주여대 방면 우산방음터널(왼쪽)에 조명이 켜져 있다. 광주시는 해당 터널의 고장난 조명을 지난 6개월 간 예산 문제로 방치했지만 취재가 시작되자 반나절 만에 두꺼비 집을 올려 복구했다. 2025.4.8/뉴스1 ⓒ News1 이승현 기자 |
(광주=뉴스1) 이승현 기자 = 광주에서 차량 통행량이 가장 많은 구간의 터널을 반년간 '암흑'으로 방치한 광주시의 행정이 도마 위에 올랐다.
사고 위험을 호소하는 반복된 민원에도 6개월 여 '예산이 없다'고 핑계를 대다 <뉴스1> 취재가 시작되자 반나절 만에 분전함(일명 두꺼비집)이 내려간 사실을 확인해 복구를 완료했다.
8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전날 오후 광주 무진대로 계수교차로~운수IC사거리 구간에 위치한 광주여대 방면 우산방음터널 조명 20개의 임시 복구 작업을 진행했다.
이 구간(계수교차로~운수IC사거리)은 광주에서 차량 통행량이 가장 많은 곳으로 하루 평균 6만 8689대의 차량이 지나간다.
방음터널 진입 전과 내부, 끝부분에 각 1곳씩 총 3곳의 진출로가 있어 각 방향에서 진출입하는 차들로 차선 변경이 잦은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난해 10월부터 방음터널의 조명이 켜지지 않으면서 운전자들은 시속 80㎞ 구간에서 시야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사고 위험성을 알리는 민원을 국민신문고와 전화를 통해 수차례 광주시에 제기했다.
그러나 시는 '정비 예산이 없다'며 차일피일 시민들의 민원을 외면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구간을 통제하고 전구 정비에 들어갈 경우 개략적으로 억대 이상의 비용이 소요된다"며 "하지만 방음터널 정비 예산이 없다 보니 즉각적인 조치가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난주 전문가 자문을 구해 전기 회로 등 제어시스템(차단기)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확인 중에 있다"며 "이 부분이 어렵다면 예산을 수립 후 정비 공사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장 차단기 점검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냐는 취재진의 물음에는 "부서에 관련 직렬 업무 담당자가 없어 (타 부서에) 협조 단계에 있다"고 했다.
광주 무진대로 우산방음터널(광주여대 방면)에 조명이 켜지지 않은 모습. (독자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4.7/뉴스1 ⓒ News1 이승현 기자 |
하지만 전날 <뉴스1> 취재 이후 반나절 만에 광주시는 반년간 한 번도 하지 않았던 현장 점검을 진행했다.
이후 '차단기가 내려가 있어 조명이 소등됐다'는 원인을 파악하고 임시 복구까지 일사천리로 작업을 완료했다.
반복적인 민원에도 예산 탓만 한 안일한 행정에 가장 기본적인 두꺼비집조차 들여다보지 않은 황당 행정으로 시민들을 위험에 노출시켰던 셈이다.
시 관계자는 "구조물 분야 유지 보수팀에게 긴급히 현장을 살펴볼 것을 요청했고 확인 결과 차단기가 내려와 있었다"며 "차단기를 올렸더니 이상 없이 불이 들어온다는 연락을 받았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지난겨울 폭설로 인한 제설작업과 포트홀 복구 작업으로 민원을 미처 신경 쓰지 못한 부분이 있다"며 "이른 시일 내에 조명 정비를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pepp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