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이스라엘, 가자지구 경계 따라 1㎞ '살인구역' 조성"

0
댓글0
기존 완충지대보다 1㎞ 더 안쪽으로 설정…"주택·인프라 조직적 파괴"
연합뉴스

이스라엘군 병력
[UPI=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용래 기자 =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 내에 건물, 공장, 농장 등을 완전히 없애 버린 완충지대를 추가로 만들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스라엘은 완충지대 안의 주거용 건물까지 모두 파괴하고는 해당 지역에서 보이는 사람에게는 모두 발포하라는 명령까지 내려 이곳을 '살인구역'(kill zone)으로 만들었다고 영국의 일간 가디언이 7일 전했다.

가디언에 따르면 이스라엘 제대군인들이 2004년 결성한 시민단체 '브레이킹 더 사일런스'는 완충지대 작업에 투입된 병사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작성한 보고서를 이날 내놨다.

이 보고서는 이스라엘군의 추가 완충지대 건설 목적은 해당 구역 내 장애물을 모두 없애 이스라엘군이 적(하마스)을 잘 식별해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이 공간에는 작물도, 구조물도, 사람도 없어야 한다. 완충지대 안의 모든 구조물과 인프라가 파괴됐다"고 전했다.

가디언에 따르면 이 완충지대는 2023년 10월 전쟁 발발 이후 이스라엘과 가자지구 경계에 있는 300m 폭의 기존 완충지대에서 1㎞ 더 가자지구 쪽으로 설정됐다.

작업에 참여한 이스라엘군 병사들은 민간인이 거주하는 주택은 물론, 학교, 이슬람교 회당(모스크), 묘지, 공공시설물 등 거의 모든 건물과 시설을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파괴하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한다. 그 결과 완충지대는 사람이 살 수 없는 곳으로 변해버렸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연합뉴스

이스라엘-가자 경계의 이스라엘군 전차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이스라엘군의 한 공병 부대원은 주택과 파괴된 주택 잔해들을 폭파하는 임무를 수행했다고 증언했다. 중대별로 아침에 5~7개 작업 대상 주택건물을 배당받아 이를 파괴했다는 것이다.

그는 "우리가 왜 건물을 부수는지 몰랐고, 합법적인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정당화할 수 있는 한도를 벗어난 일 같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위성 이미지 분석 결과 이스라엘군은 가자지구와의 경계에서 1~1.2km 내의 건물 수 백개를 조직적으로 파괴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한 이스라엘군 병사는 완충지대 안에서 사람을 발견할 시 발포하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했다.

이 병사를 포함해 여러 군인은 당시 '민간인'이라는 개념이 없이 완충지대 안으로 들어오는 사람은 전부 테러리스트로 간주해야 한다는 관념이 있었다고 전했다.

한 이스라엘군 대위는 완충지대 안에선 "명확한 교전수칙도 없었다"면서 "우리는 치욕, 고통, 분노, 성공에 대한 강박으로 전쟁을 시작했다. 민간과 테러 시설의 구분은 중요하지 않았고, 아무도 신경을 쓰지 않았다"고 말했다.

일부 병사들은 하마스의 10월 7일 공격에 대한 보복 차원에서 이뤄진 일 같았다고 전했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는 2023년 10월 7일 이스라엘을 기습공격했고, 이에 하마스를 상대로 전쟁을 선언한 이스라엘은 이후 1년 반 동안 가자지구를 맹폭해 대부분의 지역을 폐허로 만들었다.

이스라엘군은 이런 증언과 보고서 내용에 대한 논평을 거부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yongla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뉴시스"故구하라 사진에 관 합성"…도 넘은 마케팅 日 걸그룹 '뭇매'
  • 연합뉴스'트럼프에 맞불' 中 희토류 수출통제에 美 산업계 '비상'
  • 중앙일보팀쿡, 8년전 "미국産 아이폰 불가"…트럼프 변덕에 기업들 패닉
  • 파이낸셜뉴스"입지마세요" 비행기 사고 났을 때 ‘이 옷' 정말 위험…이유가
  • JTBC위기의 오바마 부부? 미셸은 부인했지만…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