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뉴욕증시, 나스닥만 소폭 반등 마감... 애플, 사흘 새 19%↓

0
댓글0
관세 정책에 3거래일 연속 혼조세
다우·SP 500 지수는 하락해 마감
애플, 사흘 만 시총 938조 원 증발
한국일보

8일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트레이더가 심각한 표정으로 시황을 지켜보고 있다. 뉴욕=EPA 연합뉴스


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종합지수를 제외한 주요 지수가 모두 하락했다. 지난 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공식화한 이후 미국 주식시장이 3거래일 연속 큰 혼란을 거듭하고 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49.26포인트(-0.91%) 내린 37,965.6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1.83포인트(-0.23%) 내린 5,062.25에 마감했다.

다만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5.48포인트(0.10%) 오른 15,603.26에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은 이날 장 개장 직후 5% 넘게 급락했으나 이후 반등, 지난 2거래일 연속 기록한 하락세를 멈춰 세웠다.

이날 증시는 롤러코스터를 탔다. 오전 10시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다른 모든 나라에 90일간 상호관세를 일시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3대 지수가 곧바로 반등했다. 그러나 백악관이 해당 보도를 "가짜뉴스"라고 일축하면서 3대 지수 모두 다시 하락으로 돌아섰다.

세계에서 시가총액이 가장 큰 기업인 애플의 주가도 3.67% 떨어진 채 거래를 마감했다. 이에 따라 이날까지 3거래일 동안 애플 주가는 무려 19% 하락했고, 시가총액은 6,380억 달러(약 938조6,890억 원)가 증발했다. 삼성전자 시총(약 315조 원)의 3배 가까운 가치를 불과 사흘 만에 잃은 것이다.

애플은 트럼프 행정부의 새 관세 정책으로 가장 큰 타격을 입고 있는 기업 중 하나다.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아이폰 대부분 물량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제품에 대한 관세율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54%로 급등했다.


실리콘밸리= 이서희 특파원 shle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한국일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서울경제막무가내 관세에 美빅테크 쑥대밭···국채·물가불안 부담도
  • 테크M'픽업 주문' 가입하니 수익 224% 늘어...배민 "수수료 부담보다 수익 개선 효과 더 크다"
  • 매일경제이랬다가 저랬다가 왔다갔다...전세계 가지고 장난하는 듯한 ‘트럼프 관세’
  • 아시아경제밀수까지 하던 엔비디아, 이젠 필요 없다?…美 제재에 반격 나선 중국[칩톡]
  • 동아일보동원그룹, 동원F&B 상장폐지…동원산업 100% 자회사로 편입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