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의 파면 결정으로 불소추특권이 사라지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를 향한 수사가 새 국면을 맞게 됐습니다.
정치브로커 명태균 씨 관련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은 최근 김 여사 측에 소환 방침을 통보한 것으로 확인됐는데요.
윤 전 대통령 소환 조사도 검토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채희 기자입니다.
[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개입 의혹 등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 수사팀이 최근 김건희 여사 측과 소환 일정 조율을 시도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검찰이 김 여사 측에 연락한 건 창원지검에서 중앙지검으로 사건이 이송된 직후인 지난 2월 말로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이 나오기 전입니다.
김 여사 측은 "검찰에서 조사를 위해 일정을 조율할 수 있는지 물어왔다"며 구체적인 일정까지 조율을 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이 내용은 김 여사 본인에게도 전달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검찰은 김 여사 측에 서면조사는 언급하지 않았고 대면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알린 것으로 전해져, 조율될 경우 검찰청사에 직접 출석해 조사를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검찰은 공직선거법 위반 등 혐의로 고발된 김 여사를 상대로 지난 2022년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와 지난해 22대 총선에서 국민의힘 공천에 개입했는지를 확인할 방침입니다.
검찰은 지난해 12월 확보한 명태균 씨의 이른바 황금폰에서 명 씨가 김 여사와 수시로 연락하며, 비공표 여론 조사 자료 등을 주고받은 메시지 등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 여사에 대한 수사가 본격화되면, 윤 전 대통령 소환조사도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만약 윤 전 대통령과 김 여사가 명 씨에게서 무상으로 여론조사를 제공받고, 그 대가로 김영선 전 의원 등의 공천을 도왔다면 정치자금법과 공직선거법 위반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파면 결정으로 불소추특권을 상실한 윤 전 대통령이 조기 대선 전에 조사를 받게 될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TV 한채희입니다.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한채희(1c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