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농구 서울 삼성 선수들이 패배한 뒤 아쉬워하고 있다. KBL 제공 |
프로농구에 4년 연속 꼴찌 팀이 나왔다. 서울 삼성이 역사적인 불명예를 또 연장했다.
삼성은 지난 6일 울산 현대모비스에 78-88로 져 정규리그 최종전 결과와 상관없이 최하위(16승37패)가 확정됐다. 이미 지난 시즌 리그 최초로 기록한 3시즌 연속 꼴찌 행진에 1년을 더했다.
1978년 창단한 삼성은 농구대잔치 시절 기아자동차(현 현대모비스), 현대전자(현 KCC)와 빅3로 군림했다. 1997년 프로농구 출범과 함께 삼성 썬더스로 변신한 뒤에는 문경은, 이상민, 서장훈 등 특급 스타들을 내세워 2차례 정상(2001·2006년)에 올랐고, 9년 연속 플레이오프(PO) 진출(2003~2011년) 대기록도 세웠다.
간판 스타 이관희를 내주고 가드 김시래를 영입했던 삼성은 이후 리그 최고 베테랑 가드 이정현을 데려오는 등 전력 보강을 해왔지만 극적인 변화는 이루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일본리그로 나간 가드 이대성을 이번 시즌 전 무리하게 영입해놓고 실패한 것은 뼈아프다. 원소속팀 한국가스공사와 마찰을 빚으면서까지 합류시킨 이대성은 무릎 인대 파열로 한 경기도 뛰지 못하고 개막 전 시즌을 접었다.
성적 역순에 따라 지명권을 갖는 신인 드래프트도 삼성에 힘을 싣지 못하고 있다. 안양 정관장이나 수원 KT가 유망주를 잘 뽑고 키워 하위권에서 반등에 성공한 사례지만, 삼성은 숱한 신예를 손에 넣고도 키우지 못하고 있다. 2020년 고교생 최초 전체 1순위로 데려온 차민석(2점 2.1리바운드)조차 여전히 벤치 멤버에 머물고 있다. 그나마 2021년 1순위 이원석이 4년차인 이번 시즌 평균 득점 두 자릿수(10.8점)로 가능성을 보였다.
김효범 감독은 “팬들을 위해 처절한 개혁이 필요하다”고 더 극적인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만년 꼴찌가 되어버린 삼성은 도대체 어떻게 해야 달라질까.
황민국 기자 stylelomo@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