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100조 규모' 지원책 마련…통상본부장 다시 미국행

0
댓글0
<앵커>

이렇게 관세 폭풍이 전 세계를 덮치자, 우리 정부도 움직임이 바빠졌습니다. 금융당국은 100조 원 규모의 시장 안정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고, 또 통상교섭본부장은 상호관세 협의를 위해서 다시 미국으로 향합니다.

이 내용은 홍영재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5대 금융지주와 정책금융기관을 소집한 회의에서,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로 산업과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며,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을 강조했습니다.

[김병환/금융위원장 :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로 인해 직접 영향을 받는 수출기업은 물론 협력업체들의 경영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습니다.]

정부도 약 100조 원 규모의 시장 안정 프로그램 준비와 집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시장 안정 프로그램은 채권시장 안정 펀드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관련 자금 등으로 구성됩니다.

국가별 상호관세 발효가 임박한 상황에서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도 약 한 달 만에 다시 미국을 찾습니다.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 등 미정부 인사를 만나 한국 정부의 우려를 전달하고, 상호 관세를 낮추기 위한 협상을 벌일 계획입니다.

중국이 미국의 관세 부과에 맞대응 차원에서 발표한 전 세계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도 발등의 불입니다.

중국이 전 세계 공급량의 70%를 차지하는 희토류는 스마트폰과 전기차 등 첨단 산업에 쓰이는 필수 광물입니다.

이번에 새롭게 수출 통제 대상이 된 희토류 7종에 대한 공공비축과 민간 재고, 대체재 등은 어느 정도 확보된 것으로 정부는 판단하지만, 통상 갈등이 격화하고 장기화되면 안심할 순 없습니다.

[박소영/무역협회 수석연구원 : 수출 자체를 금지를 하는 건 아닌데 수출 허가 여부가 어떻게 보면 중국 정부의 판단에 맡겨져 있는 거잖아요. 주의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중국 정부와 핫라인을 구축해 소통을 강화하는 한편, 호주 등 다른 생산국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정성화, 영상편집 : 최혜영)

홍영재 기자 yj@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SBS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서울경제막무가내 관세에 美빅테크 쑥대밭···국채·물가불안 부담도
  • 매일경제이랬다가 저랬다가 왔다갔다...전세계 가지고 장난하는 듯한 ‘트럼프 관세’
  • JTBC"대한민국 망하는 거예요"…관세 전쟁에 K-제조업 '휘청'
  • 비즈워치지속된 한화 승계 논란…"한국 사회 지배구조 문제"
  • 더팩트백화점 업계, 최악의 불황에도 '명품' 집중하는 까닭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