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원톱’ 없는 국민의힘, 대선주자 출마 선언 ‘러시’

0
댓글0
이정현 전 대표, 개헌 공약 출사표
이철우·유정복 곧 출마 선언 예정
최경환·김태흠·박형준 등 막판 고심
조기대선 레이스 컷오프 첫 관문
[이데일리 박민 기자] 국민의힘이 7일 당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조기 대선 체제에 들어가면서 그간 수면 아래 있던 잠룡들도 잇따라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일강(一强)’ 체제를 구축한 더불어민주당과 달리 사실상 ‘원톱’ 후보가 없다 보니 기존에 알려진 잠룡 이외에도 중도 확장성과 경쟁력을 앞세운 도전자들이 줄을 잇고 있는 분위기다. 출사표를 던진 후보자만 10명이 넘을 것으로 관측되면서 길지 않은 예비경선(컷오프) 과정에서 대선 주자간 치열한 신경전이 예상된다.

7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정현 전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대표는 이날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하고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에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전남 곡성 출신인 이 전 대표는 한나라당에서 새누리당에 이르기까지 3선 의원을 지냈고, 박근혜 정부 시절에는 보수정당 최초의 호남 출신 당대표를 맡은 바 있다.

이데일리

이정현 전 새누리당 대표.(사진=뉴시스)


이 전 대표는 출마 선언문에서 “대통령이 되면 가장 먼저 개헌을 추진하겠다”며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해 개헌을 완수하겠다”며 개헌을 대선 공약으로 내걸었다. 동시에 호남 출신 인사와의 러닝메이트 구성을 제안하는 등 보수 외연 확장에도 무게를 뒀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오는 9일 오후 국회에서 대선 출마를 공식화한다. 앞서 이 지사는 윤 전 대통령 파면과 관련해 “무너지는 나라 보고만 있겠습니까”라며 “모두 일어나서 자유 우파의 힘으로 다시 초일류 대한민국 자유민주주의를 지키자”고 밝힌 바 있다. 유정복 인천시장도 같은 날 인천 중구 자유공원 맥아더 장군 동상 앞에서 대선 출마를 선언하고 경선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데일리

이철우 경북도지사.(사진=연합뉴스)


박근혜 정부 시절 경제부총리를 역임했던 최경환 전 부총리도 조만간 대선 출마 의사를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친박(친박근혜)계인 최 전 부총리는 ‘경제 전문가‘라는 장점과 박 전 대통령 지지 세력을 기반으로 출사표를 던질 것으로 보인다. 최 전 부총리는 현재 당적(黨籍)을 잠시 벗어나 있는 상태라, 국민의힘 대선후보 경선에 뛰어들기 위해서는 복당이 선행돼야 한다.

이데일리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사진=뉴스1)


이외에도 김태흠 충남지사와 박형준 부산시장 등도 대선 출마를 놓고 막판 고심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광역지자체장들은 현직에서 사퇴하지 않아도 경선 과정에는 참여할 수 있어 휴가 등을 통해 국민의힘 경선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원내에서는 이번 탄핵 정국에서 ’탄핵 기각·각하‘ 목소리를 높여온 중진의원인 나경원·김기현·윤상현 의원 등도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이들 이외에 기존에 잠룡으로 꼽혀온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대구시장, 안철수 의원, 유승민 전 의원 등도 조만간 공식 출마를 하고 경선에 뛰어들 예정이다. 안 의원은 오는 8일 서울 광화문에서 대선 출정식을 갖고, 홍 시장은 오는 11일 시장직을 사퇴한 뒤 14일 대선 출마를 선언할 예정이다.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에 대선 캠프를 꾸리고 있는 한 전 대표도 아직 공식 출마 일정을 밝히지 않았지만, 임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 시장은 당 선관위 일정을 보고 대선 경선 참여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고, 여권 대선 후보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김 장관은 아직 출마 선언을 확정하지 않았고, 막판까지 고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주자들은 앞으로 경선 과정에서 저마다 중도 확장성과 이 대표를 상대할 경쟁력을 강조하는 동시에, 찬탄파‘(탄핵 찬성파) 대 반탄파(탄핵 반대파)로 나뉘어 윤 전 대통령 파면의 책임론을 놓고 선명성 경쟁도 벌일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과정에서 예비경선(컷오프) 단계별로 몇 명을 추릴지에 따라 경쟁 구도가 바뀌기 때문에 경선 룰도 눈여겨봐야 할 부분이다.

앞서 지난 20대 대선 때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는 1차 컷오프(국민 여론조사 80%·당원 선거인단 투표 20%)에서 예비 후보를 8명으로 추렸고, 2차 컷오프(국민 여론조사 70%· 당원 선거인단 투표 30%) 때는 경선 후보를 4명으로 압축한 바 있다. 이후 본경선에선 국민 50%, 당원 50%를 합쳐 최종 후보를 선출한 바 있다.

국민의힘 한 중진 의원은 “컷 오프 비율을 타이트하게 잡아 소수의 핵심 후보만 추려내는 것보다 다양한 후보자들이 참여하게 하는 게 ‘경선 흥행’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며 “다만 대선 기간이 짧은 만큼 경선 룰을 바꾸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어 기존 경선 룰을 그대로 유지할 가능성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노컷뉴스"서태지처럼 시대교체"…한동훈, 대선출마 선언(종합)
  • TV조선[단독] 한덕수에 "대선 나갈 건가"…美 트럼프의 통화 '첫 질문'이었다
  • 프레시안김종인 "尹 대선 개입하면 국민의힘은 더 망할 것"
  • 매일경제“일단 1억은 내야 TV토론 기회”…대선 경선부터 ‘쩐의 전쟁’
  • 뉴시스직무 복귀한 박성재 법무장관, 尹 파면 질의에 "헌재 결정 존중할 수밖에" [뉴시스Pic]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