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태양광+얼룩말 줄무늬” 물 부족 일거 해결…POSTECH, 해수담수화 기술 개발

0
댓글0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전상민 교수 연구팀이 태양광을 이용해 바닷물을 증발시키면서 식수와 전기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얼룩말 줄무늬 증발기’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해수담수화(Desalination)’에 온라인 게재됐다.

2024년 유네스코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약 22억 명이 안전한 식수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심각해지는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수 담수화’ 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높은 에너지 소모와 초기 설비 비용 때문에 외딴 지역이나 저개발 국가에서는 적용이 제한적이다.

‘태양열 기반 증발식 담수화(Solar Steam Generation, 이하 SSG)’ 기술은 태양광을 이용해 물을 국소적으로 가열해 증발시키는 방식으로, 에너지 효율이 높고 구조가 단순하여 기존 기술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증발 면적이 커질수록 중심부에 수증기가 축적되어 오히려 증발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아프리카 얼룩말의 줄무늬가 단순한 무늬가 아니라 체온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이론에서 영감을 받아 문제 해결에 접근했다. 검은색 줄무늬는 햇빛을 흡수해 온도를 높이고, 흰색 줄무늬는 빛을 반사해 온도를 낮추며, 이로 인해 양쪽 사이에 온도 차가 발생하면서 자연적인 공기 대류가 유도되어 체온이 조절된다는 것이다.

헤럴드경제

기존 태양열 증발기의 한계와 이를 극복한 얼룩말 줄무늬 패턴의 3D 태양열 증발기의 모식도.[POSTECH 제공]



연구팀은 셀룰로스 박막에 빛을 흡수하여 열로 전환하는 특성이 우수한 폴리피롤(Polypyrrole)을 입혀 검은색의 SSG 박막을 제작하고, 이를 일정 간격의 줄무늬 (검은색 80%, 투과 공간 20%) 형태로 절단했다. 그리고 이 구조 아래에 태양전지를 배치함으로써, 수분 증발과 동시에 전력생산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특히 이 구조를 단순한 평면이 아닌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3차원 줄무늬 SSG로 제작한 경우, 온도 차이에 따른 공기 대류 촉진 효과 외에도 증발기 뒷면에서의 추가 증발과 내부에서의 빛 산란이 증가함에 따라, 2차원 구조에 비해 담수 생산량이 28% 향상했고, 전기 생산 역시 약 10% 향상되는 성과를 보였다.

전상민 교수는 “얼룩말 줄무늬 3D 태양열 증발기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대형화에 유리하며, 전기와 담수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어 전력과 식수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파이낸셜뉴스갤럭시 '관세 유예' 반사이익 기대… 90% 中 생산 아이폰은 가격인상 불가피[관세전쟁]
  • 스마트PC사랑미야자키 하야오, AI가 아니라 철학을 얘기했었다
  • 중앙일보사람처럼 사고하는 AI 시대…구글도 추론용 AI칩 내놨다
  • 매일경제[IR52 장영실상] 한번 충전에 700㎞ 주행 … 삼성SDI 배터리기술 대통령상 받아
  • 한겨레구글은 올트먼 견제, 올트먼은 머스크에 맞소송…AI 별들의 전쟁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