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
7일 직방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직후인 2월13일부터 재지정 시행 직전인 3월23일까지 거래량을 조사한 결과 규제 대상 지역 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353건으로 해제 전 39일(1월4일~2월11일) 99건보다 3.6배 이상 많았다. 서울 전체 거래량은 9665건으로 해제 직전 동기(4559건)의 2.1배 많았다.
신고가 경신 거래는 6.5배나 늘었다. 잠실·삼성·대치·청담의 신고가 거래는 해제 전 13건에서 해제 이후 84건으로 뛰었다. 같은 기간 전체 서울 전체에서 신고가를 경신한 사례가 362건에서 839건으로 2.3배 늘어난 것에 비해 3배가량 많다. 실거래 신고 기한이 남아 있어 최종적인 거래량 집계는 변동될 수 있다.
해제 대상 지역 내에서는 잠실동의 거래가 가장 많았다. 39일 동안 잠실동은 총 135건의 아파트가 거래됐다. 세부 단지로는 잠실 3대장인 △리센츠 38건 △잠실엘스 34건 △트리지움 30건 순으로 많았다.
세 단지는 총 규모가 1만5000가구에 육박하고 우수한 교통망과 편리한 생활 인프라를 갖춰 투자자와 실수요자 모두에게 선호도가 높다. 서울 아파트 거래의 선행 지표 역할을 한다.
그다음으로는 △삼성동 86건 △대치동 71건 △청담동 61건 순으로 많았다. 삼성동은 삼성동힐스테이트 1단지 16건, 대치동은 대치현대 10건, 청담동은 청담자이 11건 등 순으로 거래됐다.
해제 이후 구별 거래량, 강남구가 1위
자치구별로는 △강남구(규제해제대상 제외) 676건 △강동구 652건 △송파구(규제해제대상 제외) 652건 △성동구 637건 순으로 거래량이 많았다.
강남구는 규제 대상 3개동이 포함돼있고 개포, 도곡, 역삼동 일대는 학군, 교통, 생활 인프라 등 주거 선호 요소를 고루 갖춘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동별로는 개포동 131건, 도곡동 122건, 역삼동 116건 등에서 거래가 많았다. 개포동에서는 △개포래미안포레스트 23건 △래미안블레스티지 21건, 도곡동은 △도곡렉슬 25건 △경남13건, 역삼동은 △역삼래미안 17건 △테헤란아이파크 13건이 거래됐다.
강동구의 경우 준공 10년 이내의 신축 대단지가 많고 강남권역 접근성이 우수해 실수요·투자수요의 관심이 집중되는 지역이다. 강남 생활권에 준하는 환경을 찾는 실수요자들에게 차선의 선택지로서 선호도가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단지는 래미안힐스테이트고덕(49건)이며 △고덕아르테온 46건 △고덕그라시움 43건 등 신축 단지 위주로 거래가 많았다.
송파구는 잠실동 규제 해제 이후 송파구 전역으로 매수세가 확산됐고 대단지 위주로 거래가 늘며 △헬리오시티 76건 △파크리오 58건 △올림픽훼밀리타운 31건이 거래됐다.
확대 지정 발표 후 4일간 거래량, 직전 주보다 많아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대상지역에서는 초기에 거래량이 급증하다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주 단위 기간별 거래량을 살펴보면 해제 직후 1주일, 총 122건이 거래됐다. 거래 제한이 해제되자 빠르게 움직인 수요자들이 즉각적으로 반응한 것이다. 이후 66건, 57건, 47건, 26건으로 거래량이 감소했다. 수요가 쏠리면서 호가가 오르고 매물이 회수되는 등 매수-매도자 간 가격 차가 커지면서 거래량에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달 19일 정부와 서울시는 토지거래허가지역 확대 재지정을 발표했고 이후 4일 동안의 거래량(35건)은 직전주(26건)보다 소폭 늘었다. 아직 거래 신고 기한이 남아 있어 정확한 거래량 추이는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재지정된 지 2주가 지나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단기적으로 거래 위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대출 규제와 세제 강화 조치로 매수자들의 관망 심리가 짙어지고 눈치보기 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김민영 직방 빅데이터랩실 매니저는 "단기적으로는 관망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지만, 상급지를 중심으로 선별적인 상승 흐름이 나타날 여지도 있다. 이번 조정이 일시적인 숨 고르기에 그칠지, 아니면 추세적 전환으로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