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국보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35㎜ 기울어…수리 필요한 'E 등급'

0
댓글0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 26건 모니터링
뉴시스

[서울=뉴시스] 국보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5.04.0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국보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이 수리가 필요할 정도로 상태가 심각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7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 최근 열린 문화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중점 관리 대상 문화유산 모니터링 결과를 보고했다.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보 14건, 보물 12건 등 총 26건을 점검한 결과 법흥사지 칠층전탑은 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E등급을 받았다.

나머지 22건은 주의관찰이 필요한 C등급, 3건은 가설덧집 설치 등 현재 수리 조치가 진행 중인 유산으로 분류됐다.

유일하게 E등급을 받은 법흥사지 칠층전탑은 예전부터 구조 안전 문제를 지적받아 왔다.

연구원은 2013년 조사에서 철도 진동에 의한 훼손과 분진, ·철가루 등에 의한 표면 오염이 우려된다는 의견을 제출했다.

이후 2015년에는 전반적으로 탑이 기울어져 보이며 철도 진동이 탑에 영향을 미쳤다는 진단을 했다.

지난 2021년 철로 철거 후 북서쪽으로 35㎜ 가량 기우는 변형이 발생했다. 최상단 옥개부 전돌에 균열이 생기고 파손됐다.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기단 시멘트기 몰탈 파손 및 면석 풍화, 생물 피해 등 손상이 관찰되어 보존처리가 필요하다”며 "올해 종합 정비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용역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연구원은 이달 안에 점검결과를 유관부서, 관리단체 등 통보하고 결과보고서를 오는 6월에 발간한다.

법흥사지 칠층전탑은 흙으로 만든 벽돌을 이용해 쌓아 올린 탑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법흥사에 속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단 윗면을 시멘트로 발라 놓아 아쉬움을 남기는 이 탑은 7층이나 되는 높은 층수에 높이 17m, 기단너비 7.75m의 거대한 탑임에도 매우 안정된 자태를 유지하고 있다.

국내에 남은 가장 크고 오래된 이 전탑은 목탑을 모방해 전탑이 만들어졌다는 것을 입증하는 자료로 평가되어 1962년 국보로 지정됐다.

한편, 연구원은 올해 국보 13건, 보물 11건 등 24건을 점검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uejeeq@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시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조선일보뜬금없이 올라온 19금 영상… 배우 남윤수 “속상하고 죄송” 해명
  • 서울경제"사람들 잘 모르는 '기적의 풀'"···항산화 효과 녹차의 8배라는 '이 차'
  • 세계일보[재미로 보는 오늘의 운세] 4월 14일 (월요일)
  • 뉴스1[오늘의 운세] 2025년 4월 14일 띠별 운세
  • MBC[날씨] 서울, '4월 중순 첫눈'‥내일 전국 또 눈·비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