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트럼프 관세에 뿔난 펭귄들, 항의 시위”…조롱 밈 확산

0
댓글0
동아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를 내라”고 소리치자, 펭귄이 “우린 사업을 다른 곳으로 옮길 것”이라고 응수하는 밈. X(옛 트위터) 캡처 @P_Kallioniemi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과 무역거래가 없는 남극 근처 무인도인 허드 맥도널드 제도에까지 10% 관세를 부과해 논란이다. 온라인상에는 펭귄이 시위를 벌이는 등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비판하는 내용의 ‘밈’(meme·인터넷 유행 콘텐츠)이 확산하고 있다.

5일(현지 시간)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 이후 주가는 급락했지만, 밈 주가는 상승했다”면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X’(옛 트위터) 등에 올라온 여러 밈을 소개했다.

동아일보

미국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J D 밴스 부통령을 만난 펭귄 밈. X(옛 트위터) 캡처 @CArzrouni


한 누리꾼은 트럼프 대통령과 J D 밴스 부통령이 백악관 집무실에 펭귄 한 마리를 앉혀놓고 손사래 치는 사진을 게시하며 “펭귄은 정장을 입었지만, 허드 맥도널드 제도에 대한 관세를 피하지 못했다. 아마도 ‘고맙다’고 하지 않아서”라고 썼다.

이는 지난 2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백악관 방문 당시 겪은 상황에 빗댄 것이다. 당시 젤렌스키 대통령은 정장을 입지 않아 한 보수성향 기자에게 “왜 정장을 입지 않았느냐”는 질문을 받은 바 있다. 밴스 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을 향해 고마움을 모르고 무례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동아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뒤 주식 시장이 붕괴한 현상을 풍자한 밈. 스레드 캡처 @penguinsagainsttrump


‘스레드’에서는 ‘펭귄 어게인스트 트럼프’라는 계정이 팔로워 7만5000여 명을 모으며 인기를 끌고 있다. 해당 계정에는 트럼프 행정부를 겨냥해 “당신들이 우릴 추방할 수 있겠나. 우린 수세기 동안 얼음을 견뎌왔다”는 글이 올라왔다.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과 얼음(ice)을 언어유희로 엮은 말장난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이민 정책을 조롱한 것으로 보인다.

이 계정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뒤 주식 시장이 붕괴한 현상을 풍자한 영상이 올라오기도 했다. 영상에서 펭귄은 높은 얼음 절벽 위에서 고속으로 수직 낙하한다.

펭귄들이 ‘관세 반대’ 팻말을 들고 시위하는 모습도 SNS에 등장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내라”고 소리치자, 펭귄이 “우린 사업을 다른 곳으로 옮길 것”이라고 응수하는 이미지도 올라왔다.

동아일보

관세 부과에 항의 시위하는 펭귄 밈. X(옛 트위터) 캡처 @owenmiller75


미국의 정치리스크 연구 및 컨설팅 기업 유라시아그룹 회장인 이언 브레머도 밈에 가세했다. 그는 X에 “트럼프의 10% 관세에 항의하는 주민들로 인해 맥도널드 제도에서 전례 없는 시위가 벌어졌다”고 올리며 펭귄이 대규모로 모인 사진을 공유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2일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며 인도양 남부 무인도의 허드 맥도널드 제도에 10% 관세를 매겼다. 남극 대륙에서 약 1700㎞ 떨어진 이 섬은 펭귄, 물개, 바다표범 같은 야생동물만 서식하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은 6일 CB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허드 맥도널드 제도에 관세를 부과한 데 대해 “(관세) 목록에서 빠지면 미국을 대상으로 차익 거래를 하려는 국가들이 그 나라를 거쳐 우리에게 제품을 팔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통령은 2018년 중국에 관세를 부과했고, 이후 중국은 다른 나라를 통해 미국으로 들어왔다. 대통령은 이를 지긋지긋해 한다”면서 “대통령은 ‘세계 어느 곳도 중국이나 다른 나라들이 이 말도 안 되는 허점을 통해 (미국으로) 물건을 운송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삼도록 내버려둘 수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혜원 기자 hyewon@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연합뉴스트럼프 행정부 대외원조 '칼질' 주도한 국무부 인사 돌연 해임
  • YTN[스타트 브리핑] 유럽·캐나다 이어 중국도 "아이폰 안 쓰고 스타벅스 안 마신다
  • 서울경제"아빠, 나 한국 돌아가야 된대"···美, 유학생 300명 비자 취소 '날벼락'
  • MBC[이 시각 세계] 오바마, 여배우와 불륜설에 '몸살'
  • 뉴스1하버드대 인근 고급 아파트서 성매매…한인 여성 운영, 80억 수입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