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김재식 미래에셋생명 CEO, 현신균 LG CNS CEO가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는 모습(사진=LG CN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서울=뉴시스]송혜리 기자 = LG CNS가 약 1300억원 규모 미래에셋생명보험(이하 미래에셋생명) 인공지능 전환(AX) 사업을 수행한다고 7일 밝혔다.
양사는 최근 서울 여의도 미래에셋생명 본사에서 현신균 LG CNS 최고경영자(CEO)와 김재식 미래에셋생명 CEO 등 주요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차세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먼저, LG CNS는 미래에셋생명 임직원들이 사내에서 활용하는 생성형 AI 플랫폼을 구축한다.
미래에셋생명이 보유한 방대한 데이터를 거대언어모델(LLM)에 학습시켜 임직원들이 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고, 손쉽게 찾아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임직원들이 업무 중 궁금한 점이 생겼을 때, 여러 사내 시스템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AI에게 질문만 하면 사내 지식 기반의 최적화된 답변을 얻을 수 있다.
회사는 향후 이 플랫폼을 고객상담에도 적용해 상담사들이 고객의 질문에 답변하는 데 활용하거나, AI 음성봇 등에 적용해 고객 응대 품질을 높일 계획이다.
LG CNS는 미래에셋생명 디지털 환경도 바꾼다.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구글클라우드 등 여러 클라우드 기업의 서비스를 조합해 사용하는 멀티 클라우드와, 기업이 자체 운영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결합한 '멀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구현한다.
이를 통해 미래에셋생명은 데이터의 보안이 중요한 업무는 내부 시스템에서 처리하고 다른 서비스는 퍼블릭 클라우드를 사용함으로써 유연하고 효율적인 클라우드 환경을 갖추게 된다. 또 금융규제 완화 등 사업 환경 변화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LG CNS는 상품개발, 보험계약, 입출금 등 보험 주요업무와 회계, 영업관리 등 미래에셋생명의 업무 시스템 전반도 전면 개편한다.
특히 상품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수립해 고객 맞춤형 보험상품을 빠르게 출시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기존에는 종신·연금보험과 같은 주계약과 이를 보완하는 질병 관련 특약 중심으로만 개발·관리해오던 보험상품을, 세분화된 질병분류체계(KCD)와 그에 따른 지급 기준까지 반영하도록 해 고객맞춤형 상품으로 선보일 수 있게 된다. 보험계약 체결·변경·갱신해지 등 계약관리 프로세스도 표준화·간소화해 고객 편의를 높인다.
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차세대 시스템 구축 사업 뿐 아니라 AI 연구개발(R&D) 협력체계도 함께 마련하기로 합의했다. 정기 협의체를 마련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공동 발굴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는 등 AX 분야에서 포괄적인 협력을 진행할 계획이다.
현신균 LG CNS 대표는 "그동안 축적한 금융 IT 역량을 총동원해 미래에셋생명이 AI 기반의 차세대 시스템으로 비즈니스를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앞으로도 미래에셋생명과 상생하는 AX 생태계를 구축해 미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뤄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chewoo@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