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흔들리는 제조망’ 다시 짜는 글로벌 생산기지 [공급망 전쟁의 서막①]

0
댓글0
고율 관세 韓기업 생산기지 동남아 집중…공급망 재편 불가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과거 리얼리티 쇼 프로그램에서 외쳤던 ‘너는 해고야(You are fired)’가 현실이 됐다. 확성기로 경고만 날리던 ‘관세 부과’가 전 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실제 ‘발사(fire)’된 것이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를 놓고 ‘뒤집힌(inverted) 세계’라고 표현했다. 뒤집힌 세계는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에 직격탄을 날렸다. 2018년 시작된 미중 무역갈등,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에 이어 한국기업들은 관세발(發) 공급망 전쟁 소용돌이에 다시 휘말렸다. 공급망은 인증과 같은 절차적인 부분을 새롭게 받아야 하기 때문에 재편이 쉽지 않다. 생산라인 구축 등에도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집행된다. 본지는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기업들의 공급망 현주소를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투데이

전 세계를 상대로 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방위적인 관세 폭격에 ‘글로벌 서플라이 체인(공급망) 붕괴’가 현실화될 위기에 직면했다. 10년 전부터 ‘탈(脫)중국’을 목표로 베트남·인도·멕시코 등에 생산거점을 구축한 국내 기업들도 이번 관세 파고로 공급망 전략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하지만 뚜렷한 ‘관세 피난처’를 찾기 쉽지 않은 데다 글로벌 생산기지 전환에는 물류와 인건비, 규제, 조세 등 다양한 변수들이 얽혀 있어 전략 수정에 난항이 예상된다.

6일 산업계 및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를 계기로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잇달아 낮췄다. JP모건은 올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1.2%에서 0.9%로 0.3%포인트(p) 낮췄다. 씨티는 1.0%에서 0.8%로 0.2%p 내렸고, 한국투자증권은 1.4%에서 1.1%로 하향 조정했다.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내려간 주된 요인은 한결같다. 미 행정부가 우리나라에 물린 상호관세 25%로 한국의 실질 수출이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다. 추가 협상이 없다면 한국 수출의 최대 피해 규모가 약 200억 달러(약 29조 원)에 달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여기에 타국 관세 영향, 수출선 다변화, 주요 교역국의 성장 둔화까지 고려하면 국내 기업 수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훨씬 커진다.

이투데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서명된 행정명령을 들고 있다. 워싱턴D.C./AFP연합뉴스


특히 한국 기업의 진출이 활발한 베트남 등 동남아 대부분 국가에 높은 상호관세율이 적용된 점이 부정적이다. 미국은 중국(34%, 기존 관세율 20% 합산 시 50%), 베트남(46%), 태국(37%), 인도(27%) 등에 상호 관세를 부과했다. 이들 지역에서 조립·생산돼 미국으로 수출되는 공급망을 구축한 기업은 관세 영향을 피하기 어렵다. 삼성전자를 필두로 많은 제조업 투자가 중국에서 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으로 확산했다. 지난해까지 한국 기업의 베트남 누적 투자 규모는 약 859억 달러(약 126조 원)에 달한다.

전 산업이 비상이다. 최종 제품 생산기지가 베트남인 디스플레이를 비롯해 IT 기기 제조 기반 대부분은 고율 관세국에 자리 잡고 있어 우회 가능 경로도 대부분 차단됐다. 세트업체들의 수익성 하락은 우리나라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요 감소로도 이어질 수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반도체의 수출 비중이 큰 국가는 중국(36.5%), 대만(20%), 홍콩(19.6%), 베트남(13.2%) 등의 순이다. 이차전지기업들은 유럽 공장 비중도 높아 가동률 상향에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하다. 완성차와 부품업계는 이번에 화살이 비껴간 멕시코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업들의 미국 내 제조시설 확장을 고려하지만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원장은 “우리 기업이 다수 진출한 베트남, 인도네시아, 멕시코 등에 대한 관세 조치가 다양하고 일부는 품목별로 차이가 있는 만큼 업계는 공급망 전략을 면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투데이/권태성 기자 ( tskwo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투데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세계일보이젠 음식 포장까지 수수료를?…점주들 “남는 게 없다” [미드나잇 이슈]
  • YTN스마트폰 면제라더니 "아니다"...불확실성에 숨죽인 삼성
  • 중앙일보[Today’s PICK] 1만건 도둑맞은 K상표…동남아 도용 ‘중국 2배’
  • 파이낸셜뉴스트럼프, 차 부품 관세 면제 시사…불확실성 지친 시장, 환호는 없어
  • 아이뉴스24"요거트로 시작하는 하루"…MZ세대가 선택한 '셀프 리추얼'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