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中 ‘눈에는 눈’, 英-日은 “협상”… 엇갈리는 美관세 대응

0
댓글0
佛, 맞대응 차원 美빅테크 규제 검토
대만, 기업 대표들과 긴급좌담회
2일(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부과 발표 후 각국은 대응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미국산 제품에 34% 보복 관세 부과를 천명한 중국은 강도 높은 대미 비판을 이어가며 강경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영국과 일본, 대만 등은 보복 조치보다는 협상을 통해 미국을 설득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동아일보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 여파로 뉴욕 증시 3대 지수가 5% 넘게 급락한 도표를 페이스북에 공유하며 “증시가 말해준다”고 썼다. 사진 출처 궈자쿤 대변인 페이스북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5일 성명을 통해 “미국이 무분별한 관세를 통해 현 국제 무역 질서를 전복하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중국은 이미 앞으로도 계속 단호한 조치를 통해 자국의 주권과 안보·발전 이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했다. 4일 미국산 제품에 대한 34% 보복 관세와 중국산 희토류 7종의 수출 통제를 발표한 중국이 미국의 압박에 쉽게 물러서지 않겠다는 걸 분명히 한 것이다. 그러면서 대미 선전전을 병행하고 있다. 궈자쿤(郭嘉昆)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미 증시 3대 지수가 5% 넘게 급락한 사진을 올리며 “증시가 말해준다”고 적었다. 관영 중국국제텔레비전(CGTV)은 SNS 계정에 미국 소비자 관점에서 자국의 인플레이션을 비판하는 내용의 영상을 공개했다. CGTV는 뮤직비디오 형태의 해당 영상을 인공지능(AI)으로 제작했다면서 “(미국) 부채 위기는 100% 인간이 만든 것”이라고 비꼬았다.

프랑스도 상호 관세에 맞대응하는 차원에서 구글 등 미국 빅테크들에 대한 데이터 사용 규제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이날 전했다.

반면, 유럽연합(EU) 상호 관세율(20%)의 절반만 부과받은 영국은 키어 스타머 총리의 ‘부드러운 대응’이 빛을 발했다고 자평하며 미국과의 추가 협상에 공을 들이고 있다. 스타머 총리는 올여름 트럼프 대통령을 스코틀랜드에 초청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영국 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도 5일 TV에 출연해 “다음 주 중 트럼프 대통령과 (관세와 관련해) 전화 협의를 하고 싶다”고 밝혔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통화한 사실을 공개하며 “(베트남이) 대미 관세를 ‘0’으로 낮추고 싶다고 했다”고 4일 밝혔다.

한국(25%), 일본(24%)보다 더 높은 34% 상호 관세를 부과받은 대만은 5일 라이칭더(賴淸德) 총통이 폭스콘, TSMC 등 주요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대표들을 불러 긴급 좌담회를 열었다. 이날 대만 정부는 기업들에 880억 대만달러(약 3조8800억 원)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파리=조은아 특파원 achim@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YTN[스타트 브리핑] 유럽·캐나다 이어 중국도 "아이폰 안 쓰고 스타벅스 안 마신다
  • 서울경제"아빠, 나 한국 돌아가야 된대"···美, 유학생 300명 비자 취소 '날벼락'
  • 이데일리'사탄숭배 극우' 심취해 부모 살해..트럼프 암살 계획까지
  • 아주경제미·중 관세전쟁에..."中, 희토류 수출 사실상 중단"
  • 뉴스1하버드대 인근 고급 아파트서 성매매…한인 여성 운영, 80억 수입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