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해 12월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성’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김 의원은 6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우리 당에는 계엄이 벌어진 이후 부정선거와 ‘계몽령’의 광기 속에서 칼춤을 추며 당을 위기 속으로 몰아넣은 사람들이 있다”며 이같이 적었다.
이어 “탄핵 선고 이후에도 탄핵당한 대통령을 등에 업고 자기 정치를 하는 무책임한 중진 의원들이 있다”며 “당을 망치는 사람들이 누구인가. ‘자유우파’를 입에 달고 살면서 실제로는 이재명의 선대위원장 노릇을 하는 사람들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윤 전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 이후 탄핵 찬성 의원들에 대한 조치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정점식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4일 의원총회에서 “탄핵에 찬성했던 의원들에 대한 조치를 공론화하자”고 요구하기도 했다.
윤상현 의원도 같은 날 의총 중간 기자들과 만나 “제발 탄핵만은 막자고 읍소했는데 우리 동료 의원들이 탄핵에 앞장섰다”며 “대통령을 두 번 탄핵시키는 어리석은 집단이 어디 있나.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과 똑같은 상황이 연출됐다”고 했다.
탄핵 찬성 견해를 밝혔던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4일 CBS 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와의 인터뷰에서 “그 말을 듣는 순간 ‘아 이분들이 아직도 정신을 못 차리고 있는 것 아닌가’,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부정하는 것인가’라는 생각을 했다”며 “이성을 되찾길 바란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는 탄핵 찬성 견해를 밝혔던 김 의원 등을 두고 “징계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서지영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의원총회가 끝나고 “지도부에 (조치를) 일임하는 것으로 중론을 모았다”고 답했다.
앞서 조 의원과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 이후 하야 입장을 밝혔고, 김상욱·김예지 의원은 탄핵안 표결에 참석하며 찬성 입장을 드러냈다. 김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고 ‘당론으로 탄핵에 찬성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