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치매’ 걱정되면, 미혼이 낫다?…기혼자가 미혼자 보다 ‘치매 위험’ 높아, 연구결과 충격

0
댓글0
헤럴드경제

게티이미지코리아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미혼자가 결혼한 기혼자에 비해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들이 나온 가운데, 이번에는 반대로 기혼자가 미혼자에 비해 치매 위험이 더 높다는 상반된 연구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미국 국립 알츠하이머병 조정센터(National Alzheimer’s Coordinating Center)의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결혼하지 않고 미혼 상태가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알츠하이머병 협회 학술지 알츠하이머병과 치매(Alzheimer’s & Dementia)에 발표된 이번 연구는 평균 나이 71세인 고령자 2만4000여 명을 18년 간 추적 조사해 이뤄졌다. 연구자들은 결혼 여부와 인지 장애 등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배우자를 잃었거나(사별), 이혼했거나, 한번도 결혼하지 않은 사람들이 기혼자 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미혼자는 기혼자에 비해 치매 발병 위험이 40%나 낮았고, 이혼자의 치매 발병 위험은 34% 감소했다. 또 사별한 사람도 치매 발병 위험이 27%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연관성은 성별, 건강 상태, 생활 습관, 유전적 요인(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을 높이는 APOE-e4 유전자 보유 여부 포함) 등 다양한 변수를 조정한 후에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연구팀은 “결혼이 구조적으로 혜택을 줄 수는 있지만, 나이 들어 배우자를 돌보는 부담, 배우자의 질병, 또는 갈등이 지속되는 관계는 오히려 인지 회복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결혼이 신체적·정신적·정서적으로 더 건강하게 사는 데 도움이 된다는 기존 통념을 뒤집은 것이다.

연구팀은 “이혼자들은 삶의 만족도와 자율성이 증가하면서 신경퇴행을 방어하는 힘이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만성 스트레스는 뇌 신경세포를 손상시키고 사멸을 유도해 치매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실제로 2023년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스트레스 장애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치매 발병 위험이 높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치매 발병 위험이 1.78배 높았으며, 적응장애 환자는 1.32배, 급성 스트레스 환자는 1.20배 높았다.

연구진은 스트레스 강도가 높을수록 치매 위험도 비례적으로 증가한다고 분석하며 스트레스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다만, 결혼을 했다고 치매에 잘 걸리는 것은 아니다.

기혼자의 치매 진단 비율이 높은 것은 배우자가 바로 알아차리고 조치를 한 것도 중요한 요인이라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연구진은 “결혼 여부 자체 보다 사회적 관계의 질, 심리적 안정감, 자율성을 충분히 누리는지 여부가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지금 봐야할 뉴스

  • TV조선SKT, '2025 월드IT쇼' 참가…‘AI로 진화하는 일상’ 소개
  • 쿠키뉴스해군·해병대, 여단급 합동상륙훈련 실시
  • 비즈워치"액티브한 운전에도 '롱런'" 전기차 대중화 가속기 '기아 EV4'
  • 아시아경제韓성장률 1%P 낮춘 IMF "정치 불확실성 영향 포함"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