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단독] '노예처럼 착취' 알려지자…미국 "그 소금 수입금지"

0
댓글0
<앵커>

국내 최대 규모의 염전인 태평염전에 대해 미국이, '수입제한' 조치를 내린 게 확인됐습니다. 이 염전에서 폭행 등 강제노동이 이뤄졌다는 사실을 미국이 직접, 확인했다는 게 그 이유입니다. 강제노동 때문에 수입금지가 내려진 것은 처음입니다.

정반석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기자>

지난 3일, 미국 관세국경보호청이 홈페이지에 공지한 문건입니다.

한국의 태평염전에서 난 소금에 대한 수입금지 조치를 내린다고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 태평염전에서 이동 제한과 신분증 압류, 협박, 사기, 폭행 등 광범위한 강제노동 사실을 확인했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수입금지 조치된 나라는 중국과 소말리아, 짐바브웨 등 12개국인데 여기에 한국까지 추가됐습니다.

미국 정부가 강제노동을 이유로 한국 기업에 대한 수입금지 조치를 내린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김종철/변호사 (공익법센터 어필) : 강제노동으로 소금을 생산하고 수출한 기업들은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았는데 이에 대해 한국 정부도 제대로 대응하지 않았거든요. 미국은 기업들이 책임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노예처럼 착취당하는 태평염전 노동자들은 지난 2022년 SBS에 자신들의 비참한 실태를 생생하게 증언한 바 있습니다.

[박영근/염전 노동 피해자 (2022년 1월 25일 8뉴스) : (다른 노동자도) 새벽에 도망갔다가 잡혀 왔어요. 그래서 엄청 두드려 맞았어요. (나는) 바닷물 푸다가 아무도 없어서 기회다 해서 내가 나왔죠. 산으로 막 튀었지.]

염전 임차인은 지적장애인들을 학대하고 착취한 혐의로 징역 5년을 선고받았지만 정작 염전에서 난 소금을 팔아 돈을 번 기업 태평염전은 별다른 제재를 받지 않았습니다.

국내 인권단체들은 장애인을 착취해 만든 소금으로 기업이 돈을 버는 것은 부당하다며 미국에 태평염전과 이를 사용하는 식품 대기업에 대한 제재 조치를 요청한 바 있습니다.

태평염전 측은 문제를 일으킨 임차인을 내보낸 뒤 노동자 숙소 건립 등 재발방지 조치를 이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강동철, 영상편집 : 김종미, 디자인 : 장예은)

정반석 기자 jbs@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SBS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JTBC[단독] 의혹마다 등장하는 '김건희 계좌관리인' 이종호…금감원, 이달 중 결론
  • 헤럴드경제“박나래 자체가 위험. 그렇게 방송하면 안돼” 경고한 프로파일러
  • 중앙일보갑자기 여객기 비상문 열리자 비명 터졌다…놀란 승객들 뛰쳐나가
  • 하이닥"온몸이 쑤시고 아파"…중년여성 괴롭히는 전신통증 원인은?
  • 아시아경제"아파트 베란다에 웬 줄이…" 독거노인이 보낸 필사의 구조신호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