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밤새 또 '숏폼' 봤어?”… 20대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 심각 [수민이가 화났어요]

0
댓글0
우울증 수면 질 저하 등 건강 악영향
1~5분 사이의 짧은 동영상인 이른바 ‘숏폼’ 콘텐츠가 청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심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청년들이 스마트폰을 지나치게 사용해 우울증과 수면 질 저하 등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최근 발표한 ‘2024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대는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34%로 성인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다. 그 원인이 숏폼 때문이다.

세계일보

1~5분 사이의 ‘숏폼’ 콘텐츠가 젊은 청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심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합뉴스


6일 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가 한국지식경영학회 ‘지식경영연구’ 최근호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인스타그램 ‘릴스’와 유튜브 ‘쇼츠’ 같은 숏폼 콘텐츠는 강한 중독성으로 인해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스마트폰 과의존은 스마트폰을 지나치게 사용함으로써 스마트폰이 생활 패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이를 조절할 능력이 감소해 우울, 수면 질 저하 등 문제가 발생할 정도에 이른 것을 말한다.

이 같은 문제가 특히 20대에서 두드러지는 이유는 자율성과 독립성이 강조되는 시기적 특성상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통제가 거의 없다고 논문은 설명했다.

세계일보

서울 시내 한 중학교 앞에서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보면서 하교 하고 있다. 뉴시스


실제로 숏폼 콘텐츠가 20대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바른 ICT 연구소 이건우 교수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실시된 한국미디어 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했다.

이 교수는 숏폼 서비스 도입 시기인 2021년 전후로 두 집단의 주당 OTT 이용 빈도 변화 정도를 분석해 숏폼 시청과 과의존 사이 인과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숏폼 도입은 20대의 주당 OTT 이용 빈도를 약 1.7회 만큼 유의미하게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스타그램을 주로 사용하는 집단에서 이 같은 특징이 명확히 드러났다. 이 교수는 일반적으로 OTT 이용 빈도가 높아질수록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은 증가해, 숏폼 콘텐츠 도입이 20대의 전반적인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증가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일정 시간 시청 시 휴식을 권장하는 알림 기능을 도입하는 등 플랫폼 운영자의 사회적 책임과 20대 스스로 사용 시간을 제한하는 등 자기 조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세계일보

숏폼이 메신저를 제치고 청소년이 평소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매체로 꼽혔다. 게티이미지뱅크


한편 숏폼이 메신저를 제치고 청소년이 평소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매체로 꼽혔다.

여성가족부는 지난 1일 ‘청소년 매체이용·유해환경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9~11월 전국 초(4~6학년)·중·고교생 1만5053명을 온라인으로 조사한 내용이다.

최근 1년간 청소년들의 이용률이 가장 높은 매체(중복응답)는 숏폼 콘텐트(94.2%)로 집계됐다. 초등학생 1위, 중·고교생 2위로 고르게 상위권을 나타냈다. 그다음은 인터넷·온라인 메신저(92.6%), 인터넷 개인방송·동영상 사이트(91.1%)였다.

김지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박사는 “연령이 낮아질수록 (동영상을) 긴 것을 보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며 “청소년기 학습 등에 미칠 영향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세계일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매일경제“이제는 해볼만하다”...한국어 잘하는 AI 만들겠다는 이 기업은
  • 헤럴드경제韓 연구진, 치매 기억 손상원인 찾았다…“단기 기억력 회복 가능성 입증”
  • 조선비즈“반도체 관세 면제” “곧 관세율 발표”… TSMC, 관세 혼란에 美 장비 반입 속도
  • 전자신문“로봇이 처음 보는 물체도 한눈에 정확히 인식”…GIST, 실시간 AI 비전 기술 개발
  • 연합뉴스TV"딥페이크 선거 영상, 조금이라도 오인 가능성 있다면 법 위반"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