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국적의 선원 수기안토씨.(사진=뉴스1) |
6일 이한경 산불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재한 중대본 회의에서 “이번 산불 때 대피에 어려움을 겪던 할머니 등을 도운 인도네시아 국적의 세 분에게 특별기여자 체류자격을 부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차장은 “자신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이웃의 생명을 구한 분들에게도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덧붙였다.
수기안토씨는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사장님(유씨)하고 당시 얼마나 뛰어다녔는지 기억이 나질 않는다. ‘빨리빨리’라는 소리에 잠에서 깨어난 할머니들을 업고 언덕길을 내려왔는데 불이 바로 앞 가게에 붙은 것을 보고 겁이 났다”고 회상했다.
90대 마을 주민은 “(수기안토가) 없었으면 우린 다 죽었을 것”이라며 “TV 보다 잠이 들었는데 밖에서 불이 났다는 고함에 일어나 문밖을 보니 수기안토가 와있었고 등에 업혀 집에서 탈출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8년 전 취업 비자로 입국해 선원으로 일하고 있는 수키안토씨는 고국인 인도네시아에 다섯 살 아들과 부인이 있다고 한다. 그는 주민들과 한국말로 소통도 가능하다.
한편, 정부는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대본에 따르면 산림청은 오는 12일 산사태 우려 지역 긴급 진단을 마무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6월 말까지 방수포 설치 등 응급 복구를 추진한다. 행안부는 국토교통부, 산림청, 지자체,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관계부처 합동 토사재해 최소화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산불 대피에 취약한 노인요양시설 입소자 상태를 고려해 우선 대피 대상자를 선정하고, 입소자별 전원 가능한 시설과 이동 수단을 미리 확보해 신속하게 전원 조치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오전 6시 기준 임시 대피 중인 이재민은 3천193명이다. 이 가운데 2천462명이 임시숙박시설로 거처를 옮겼다. 이재민에게 지급된 응급구호세트, 모포, 생필품 및 식음료 등 구호 물품은 100만점에 육박했다. 심리지원은 8천542건 이뤄진 것으로 집계됐다. 재해구호협회 등을 통해 모인 국민 성금은 지난 4일 기준 925억1천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