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尹 부부, 아직 한남동 관저에…사진 태우고 홈피도 중단 '흔적 지우기'

0
댓글0
[the300]

머니투데이 정치 현장 이모저모포토슬라이드 이동

[서울=뉴시스]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을 파면했다. 탄핵 소추 111일, 변론 종결 38일 만이다. 사진은 지난해 3월 3차 민주주의 정상회의 장관급 회의 개회식에 참석한 윤 전 대통령 모습. (사진=뉴시스 DB) 2024.04.04. photo@newsis.com /사진=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 이후 사흘쨰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 머물고 있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이르면 다음 주 중순쯤에야 관저를 떠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홈페이지는 운영이 중단됐고 윤 전 대통령의 공식 SNS(소셜미디어) 계정 안내문도 '대한민국 대통령'에서 '제20대 대통령'으로 변경되는 등 정부 곳곳에서 윤 전 대통령 흔적 지우기도 시작됐디.

6일 정치권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지난 4일 헌재의 탄핵소추 인용 결정 이후에도 한남동 관저에 머물며 퇴거를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윤 전 대통령 관저 퇴거 시점에 대해 "아직 정리할 짐도 있고, 주말은 넘길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탄핵 인용 이후 관저를 언제까지 비워야 한다는 명시적 규정은 없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7년 탄핵 인용 후 약 56시간 만에 청와대를 떠나 삼성동 사저로 이사했다. 현재로썬 윤 전 대통령 부부는 취임 전 거주했던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사저로 돌아갈 가능성이 가장 높다. 아크로비스타는 757가구 규모의 고층 주상복합으로, 윤 전 대통령은 2022년 5월 취임 후에도 한남동 관저 공사가 마무리되기 전까지 이곳에서 출퇴근을 한 바 있다.

문제는 이곳이 공동주택인 만큼 경호동 설치가 쉽지 않다는 것이 걸림돌이다.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대통령이 재직 중 탄핵 결정을 받아 퇴임한 경우에도 전직 대통령에 대한 경호·경비는 유지된다. 당선인 시절과 취임 초 당시 경호처는 아크로비스타를 특별 경호구역으로 선포해 경호를 했다. 이로 인해 윤 대통령이 경호가 용이한 다른 거처를 찾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대통령 경호처는 사저 위치가 결정되는 대로 경호 조치를 할 계획이다. 경호처는 "관련 법률과 규정 등에 따르 전직 대통령에게 맞는 경호활동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경호처는 전날 회의를 열고 윤 전 대통령 부부를 경호할 인력 배치, 경호 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경호처는 아직 퇴거 시점과 장소를 통보받지는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 윤 전 대통령이 아크로비스타로 거처를 정하더라도 다음주 중반 이후에나 퇴거할 것으로 보인다.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대통령실 홈페이지와 SNS, 포털 등에선 윤 전 대통령의 흔적 지우기가 시작된 모습이다. 윤석열정부 정책을 홍보하는 창구가 돼 왔던 대통령실 홈페이지는 운영이 중단됐다.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서비스 점검 중'이라는 안내문만 뜨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이 사용하던 SNS 계정의 소개 글도, '대한민국 대통령 윤석열입니다'에서, '제20대 대통령 윤석열입니다'라는 문구로 수정됐다. 이에 앞서 국방부는 군부대 지휘관 집무실과 회의실에 걸려 있던 윤 전 대통령의 사진을 내리라고 지시했고, 외교부도 각 재외공관에 윤 전 대통령 사진을 철거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윤 전 대통령 직무 정지 기간에도 매주 일요일마다 소집돼 온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회의는 이날은 열리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윤 전 대통령은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 만나 약 1시간 정도 차담을 가진 것으로 전해졌다. 윤 전 대통령은 나 의원에게 "어려운 시기에 역할을 해줘서 고맙고 수고했다"고 말했고, 나 의원은 "재판 결과가 좋지 않아 안타깝다"고 위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동훈 기자 mdh5246@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YTN[자막뉴스] 세계인 원성 쏟아진 '나라 망신'...드러난 총체적 난국
  • 세계일보이재명 “70년의 성취 넘어, 대한민국이 세계 주도하는 새 시대 개척하겠다” [전문]
  • 연합뉴스이재명 37% 올해 최고치…김문수 9%, '첫 등장' 한덕수 2%[한국갤럽](종합2보)
  • 프레시안국민의힘 '한덕수 차출론' 흥행 부채질…수상한 韓의 행보
  • JTBC나경원 "처절하고 절실한 마음으로 대선 출마"...윤 전 대통령이 '출마 권유' 보도도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