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트럼프 관세 폭탄’에 나이키 운동화값도 오른다 [스니커톡]

0
댓글0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나이키의 에어 조던 1 하이 운동화. 출처=EPA 연합뉴스, 나이키


나이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전 세계적인 상호관세 부과 정책에 따라 제품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주요 공장이 트럼프의 ‘관세 폭탄’을 맞은 아시아에 포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나이키의 운동화 절반가량을 생산하는 베트남의 경우 46%라는 초고율 관세가 부과됐습니다.

미국 매체 뉴욕 포스트는 3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나이키의 ‘에어 조던 1 하이’ 운동화 가격이 9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발표에 따라 최소 10% 인상될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에어 조던 1 하이의 원래 가격은 180달러(약 25만원)로, 18달러(약 2만 5000원) 더 비싸진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입니다.

이에 따라 적용 시기는 다를 수 있으나 국내 발매가 역시 오를 가능성이 큽니다.

현재 이 제품의 국내 가격은 21만 9000원으로, 10% 인상을 적용하면 24만~25만 원이 된다는 것입니다.

뉴욕포스트는 나이키의 다른 인기 운동화들도 15~18달러(약 2만 1000~2만 5000원) 더 비싸질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스테디셀러인 에어 포스 1 운동화의 경우 최소 126.50달러(약 18만 2000원)로 오를 전망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업계 전문가는 이 매체에 “에어 포스 1과 같이 현재 115달러(약 16만 5000원)에 판매되는 나이키 운동화는 해외 공장에서 만드는 데 비용이 18달러 정도 든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베트남에 대한 46% 관세가 부과되면 운동화 한 켤레당 총비용에 8.28달러(약 1만1000원)가 추가된다”면서 “여기에 운송 컨테이너에 넣을 수 있는 운동화의 수를 곱하면 8000달러(약 1150만원)가량이 합산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나이키는 비용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현지 공장들과 협상에 나설 가능성이 큽니다. 혹은 많은 업계 전문가가 예상하듯이 각국이 미국과 협상함에 따라 관세가 하향 조정될 수도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 오는 여름부터 파산하는 기업들도 나올 수 있습니다. 업계 소식통은 “이것은 소비자 기업들에 악몽”이라면서 “이런 관세가 유지된다면 그렇게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윤태희 기자



    ▶ 재미있는 세상[ 나우뉴스]

    ▶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텐아시아유해진, 괜히 68kg이 아니네…"점심 먹으면 혼자 뛰고와" 감독도 깜짝[인터뷰②]
    • 매일경제10만원 할인받고 일본·중국·동남아 골라가자…노랑풍선이 특가 쏜다
    • OSEN'야당' 채원빈 "'이친자' 아빠 한석규, 첫 영화 주연에 '고생했다'고 응원" [인터뷰③]
    • 경향신문“대한민국 검사는 말야”···우병우에 김학의까지, 대선 앞두고 나온 영화 ‘야당’
    • 세계일보[재미로 보는 오늘의 운세] 4월 17일 (목요일)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