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너도 나도 지브리 프사" 챗GPT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생성 7억장 돌파

0
댓글0

서비스 출서 첫 주에만 1.3억명 이용…유료 구독자 수 450만명 증가

더팩트

기자가 직접 찍은 사진을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활용해 지브리 스타일로 변경한 모습. /챗GPT


[더팩트 | 김태환 기자] 오픈AI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가 이미지 생성 기능을 갖춘 새 모델을 출시한 이후 '지브리 스타일' 그림 만들기가 인기를 끌며 1주일 만에 제작된 이미지가 무려 7억장을 돌파했다.

브래드 라이트캡 오픈AI 최고운영책임자(COO)는 3일(현지시간) 자신의 X(구 트위터)에 글을 올리고 "챗GPT 이미지 출시 첫 주는 아주 미쳤다"며 "1억3000만명 이상의 이용자가 7억개 이상의 이미지를 생성했다"고 밝혔다.

이어 브래드는 "우리는 모든 사람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여러분의 인내심에 감사드린다. 팀은 계속해서 24시간 내내 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챗GPT의 주간 이용자 수(WAU)는 지난해 말 대비 1억5000만명 늘었으며, 유료 구독자 수도 약 450만명이 증가해 2000만명을 돌파했다.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에서도 챗GPT 이용자가 급증하는 추세다.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1일까지만 해도 79만9571명에 불과했던 챗GPT DAU는 이달 1일 기준 255만명을 기록했다.

한편 챗GPT의 새 기능과 관련해 지브리 저작권 침해 논란도 불거졌다. 일본 애니메이션 시리즈 '원피스' 감독인 이시타니 메구미는 최근 엑스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생성은 "브랜드 가치를 떨어뜨리는 행위"라며 비판했다.

kimthin@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더팩트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경향신문경향신문, 홈페이지 전면 개편
  • 헤럴드경제“구글 망이용료 2000억” 무임승차 재점화
  • 머니투데이AI에 이겼던 '전설' 이세돌, UNIST 강단 섰다…"인간 살아남을 방법은"
  • 디지털데일리"너흰 못 보는데 왜"…中 휩쓴 '폭싹 속았수다' 김선호 챌린지
  • 파이낸셜뉴스이세돌 UNIST 특임교수 "AI 스마트 캠퍼스 실현"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