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100년 전 독립 운동가 가족사진 속 막내딸의 반전[청계천 옆 사진관]

1
댓글0
백년사진 no. 107
여기 평범해 보이는 가족사진이 한 장 있습니다. 하지만 이 사진에는 사연이 있었습니다. 의열단이 되어 독립운동 활동을 하러 떠난 가장(家長)의 부재로 가족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그들의 고통과 희망을 기자가 르뽀 형식으로 정리했습니다.

당시 신문 기사를 읽기 쉽도록 다시 구성해 여러분께 소개합니다. 그런데 추가 자료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사진 속 앞줄 오른쪽에 있는 작은 소녀가 현재 한국 주요 정치인의 어머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동아일보 [연재] 동아일보 '청계천 옆 사진관'포토슬라이드 이동

김한 씨의 가정. 1925년 4월 1일자 동아일보


여름 볕이 돌이라도 녹일 듯 내리쬐던 재작년, 서울을 비롯한 온 나라가 의열단 사건으로 들끓었고 김한 씨는 그 격랑 속에서 5년의 형기를 선고받고 차디찬 감옥에 갇혔습니다. 기자는 김한 씨의 가정을 방문했습니다. 서울 시외 공덕리 224번지 허름한 초가집. 남은 가족들은 어둠 속에서 희미한 등불을 밝히며 하루하루를 견디고 있었습니다.

김한 씨의 노모 이씨는 예순여덟입니다. 백발이 성성했으나 여전히 꼿꼿했고, 젊은 시절의 고운 자취가 남아 있었습니다. 그녀의 곁에는 며느리 배 씨가 있었습니다. 올해 서른여덟, 남편보다 한 해 아래입니다. 배 씨는 두 딸을 품에 안고, 그리움을 삼키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큰딸 원정(元貞)은 이화학교 보통과 6학년에 다니고, 작은딸 예정(禮貞)은 아홉 살입니다.

갑자기 김한 씨가 잡혀간 이후, 네 식구는 의지할 곳 없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배 씨의 삶은 하루아침에 바뀌었습니다. 생계를 위해 그녀는 십 리 밖 용산의 고무 공장에 나갔습니다. 아침 여섯 시에 나서서 밤이 되어서야 돌아왔습니다. 날마다 손에 굳은살이 박히고 몸은 점점 쇠약해졌지만, 그녀는 남편의 사식을 마련하고 시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이를 악물었습니다. 곱던 얼굴은 고생의 흔적으로 마르고, 눈은 피로에 짓눌려 깊숙이 들어갔습니다. 그녀의 마음 한구석에는 언제나 남편이 있었습니다. 남편이 감옥에서 먹는 거친 콩밥, 그리고 딸들이 아버지를 찾으며 우는 모습이 떠올라, 그녀는 매일같이 눈물을 삼켰습니다.

늙은 어머니 이 씨는 그런 며느리를 애처롭게 바라보았습니다. 그녀는 조석으로 조밥을 지으며 어린 손녀들을 돌보았습니다. 작은딸 예정은 학교에서 공부를 배우면서도 때때로 아버지를 찾으며 울곤 했습니다. 원정이는 아버지가 가장 사랑하던 딸이었습니다. 두 달에 한 번 오는 면회와 편지는 이들의 유일한 위안이었습니다. 김한 씨가 동경으로 증인으로 불려간 후 소식이 끊긴 지도 오래입니다. 하지만 가족들은 그가 조선으로 돌아와 다시 면회할 날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밤이 되면, 그들의 집은 희미한 등잔불 하나에 의지했습니다. 낡고 허름한 방은 겨울이면 얼음장처럼 차가웠습니다. 그런 삶 속에서도 이 씨는 기자를 향해 말했습니다.

“이렇게 궁한 우리를 찾아주어 고맙소. 늙은 몸이 그날까지 살아 있을지 모르겠지만, 며느리를 생각해서라도 하루라도 더 버텨야지요. 가끔 가슴이 미어질 때도 많지만, 참고 또 참습니다. 어린 손녀들이 아버지를 찾으며 우는 모습을 보면, 이 원수 같은 세상을 원망하지 않을 수가 없어요.”

그녀의 눈가에 눈물이 그렁그렁 맺혔습니다. 이토록 가난하고, 이토록 외로운 가정. 하지만 그들은 결코 무너지지 않았습니다. 날마다 찾아오는 절망 속에서도, 희망이라는 이름을 가슴에 품고 있었습니다.



100년 전 김한 씨 가족의 사진은 단순한 과거의 기록이 아니었습니다. 시대의 격랑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살아간 한 가족의 삶을 증명하는 사진이었습니다.

사진 속 막내딸 김례정 씨는 어린 시절부터 모진 시간을 견뎌내며 살아왔습니다. 그리고 2010년 남북 이산가족 상봉에서 남측 최고령자(당시 96세)로 참석해 다시 한번 역사에 등장했습니다. 헤어진 가족을 다시 만나는 순간, 그녀의 눈에는 100년 전 어머니와 할머니가 흘렸을 눈물, 어린 시절 아버지를 그리며 보낸 긴 밤들이 영화 필름처럼 스쳐 갔을 것입니다.

그녀의 아들은 우원식 현 국회의장입니다. 100년 전 신문 사진 속 가족의 이야기가 오늘날까지도 살아 숨쉬고 있는 것입니다.

이번 주 백년 사진에서는 한 가족의 사진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그들의 표정과 눈빛, 그리고 사진 속에 담긴 삶의 무게가 여러분에게는 어떻게 다가왔나요? 댓글로 생각을 나눠주세요. 다음 주에는 또 다른 이야기를 담고 있는 사진을 찾아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변영욱 기자 cut@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전체 댓글 보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MBC[날씨] 따뜻해져 공기 탁해‥주말 오후 차츰 비
  • 동아일보‘산림녹화기록물’ ‘제주4·3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 YTN처음 드러난 사실...'뉴진스 분열' 소문의 실체는 [지금이뉴스]
  • 매일경제김준호, 위고비 맞고 6kg 감량했지만…“식욕·수면욕·성욕 떨어져”
  • 노컷뉴스김영하 에세이 '단 한 번의 삶' 출간 직후 베스트셀러 1위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