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트럼프, 동남아 고율관세 때렸는데…인도 급부상, 왜? [디브리핑]

1
댓글0
베트남 46%·태국 36% 비해 인도는 27%
“동남아보다 상대적 낮은 관세로 섬유, 전자, 기계 분야 등 기회 생겨”
디브리핑(Debriefing:임무수행 보고): 헤럴드경제 국제부가 ‘핫한’ 글로벌 이슈 숨은 이야기를 ‘속시원히’ 정리해드립니다. 디브리핑은 독자와 소통을 추구합니다. 궁금한 내용 댓글로 남겨주세요!
헤럴드경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3일(현지시간) 제6차 벵골 다자간 기술 및 경제 협력 이니셔티브(BIMST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방콕 공항에 도착한 모습. [AFP]



[헤럴드경제=김영철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른바 ‘아시아의 공장’이라고 불리는 동남아 국가들을 표적으로 고율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글로벌 공급망에 초격변이 예고됐다. 이런 와중에 상대적으로 관세가 낮은 인도가 어부지리격으로 삼성 등 글로벌 기업들의 공급망을 흡수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3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시티애널리스트들은 리서치 노트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는 ‘아시아 공장(factory asia)‘에 큰 타격을 줬다”고 평가했다.

지난 3일 발표된 미 정부의 국가별 상호관세에서 46% 관세율이 적용된 베트남의 대미 수출을 보면, 스마트폰, 컴퓨터 등 전자 기기가 30%를 차지했다.

FT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018년 첫 임기 당시 중국에 관세를 부과한 후, 전자 제품 중심의 수많은 제조업체들이 동남아 국가들로 생산기지를 옮기기 시작했다”며 “특히 베트남과 동남아시아는 중국 상품이 미국으로 향하는 통로가 됐다. 중국 기업의 베트남 투자 규모는 전체 신규 투자 가운데 3분의 1 수준에 육박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번 관세 발표로 동남아 국가들의 관세율은 ▷캄보디아(49%) ▷라오스(48%) ▷베트남(46%) ▷미얀마(44%) ▷태국(36%) ▷인도네시아(32%) 등으로 책정됐다. 10% 보편관세에 더해 상호관세를 부과받은 60여개국들 가운데 상위권에 속하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중국 다음으로 미국의 최대 수입처인 베트남의 의류 및 신발 공급망도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조업체와 경제학자들은 많은 동남아 국가들에 부과된 높은 관세 여파로 중국의 ‘차이나 플러스 원(China plus one)’ 전략이 약화할 수 있다고 봤다. 차이나 플러스 원은 생산 및 공급망 다변화의 차원에서 중국 외 다른 국가에서 생산거점을 확대해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전략이다.

싱가포르 화교은행(OCBC)의 애널리스트들은 연구 노트에서 “베트남과 태국의 상호 관세가 중국보다 높아지면서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을 통해 수출하던 중국의 전략은 이제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며 “결과적으로 무역 역학 관계가 다시 바뀌어 중국이 수출 비중을 북미로 직접 전환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동남아 관세 30% 넘을때 인도는 27%…“공급망 재편 기회”
헤럴드경제

지난 2016년 7월 인도 아메다바드의 한 가정용 가구 제조 공장에서 작업자가 금속 게이트를 갈고 있다. [로이터]



동남아 국가들이 높은 관세를 부과받자, 이들 국가보다 비교적 낮은 관세율이 책정된 인도(27%)가 새로운 글로벌 공급망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으로 세계 무역이 흔들리고 있지만, 이 같은 혼란 속에서도 기회가 생기고 있다고 영국 BBC 방송은 전했다.

백악관에 따르면 관세 인상 전 미국의 무역 상대국 관세율은 평균 3.3%로 인도의 관세율(17%)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이번 관세 발표로 기존 글로벌 공급망의 판도가 뒤바뀔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인도 싱크탱크 글로벌 무역 연구 이니셔티브(GTRI)는 “미국이 중국, 베트남, 태국, 방글라데시 등 국가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서 인도는 섬유, 전자, 기계 분야에서 ‘기회(opportunity)’를 맞이했다”며 “중국과 태국이 주도하고 있는 기계, 자동차, 장난감 분야에서도 상호관세에 따러 인도가 투자 유치부터 생산 규모 확대, 대미 수출 증대를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BBC는 “인도 섬유업계 역시 중국과 방글라데시가 받은 고율 관세로 인해 미국 시장에서 확장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며 “반도체의 경우 대만이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인도가 인프라와 정책 지원을 강화한다면 패키징, 테스트, 저가형 칩 제조에 진출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트렌드포스 애널리스트 미아 황은 “관세 비용 부담을 고려할 때 삼성은 단기적으로는 베트남을 주요 스마트폰 생산 기지로 삼겠지만, 북미 시장 대응을 우선시하기 위해 인도에서의 생산 확대 계획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이번 관세는 인도가 스마트폰 공급망 개발을 가속화하고 더 많은 생산 주문을 받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비즈니스 유치, 인프라 확대 급선무…“미국-인도 양자 무역 협정이 관건”
헤럴드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지난 2월 13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열린 기자회견 말미에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AP]



다만 인도의 무역 적자가 아직 상당한 수준이라는 점에서 자국 내 비즈니스 유치와 인프라 확상이 급선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인도의 ‘생산 연계 인센티브’(PLI)’ 제도로 현지 제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가운데 26%의 고율 관세가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아제이 스리바스타바 GTRI 설립자는 “인도가 이번 관세 발표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같은 기회를 충분히 활용하려면 비즈니스 편의성을 높이고, 물류 및 인프라에 투자하며 정책적 안정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도 무역연구소(IIFT)의 전 WTO 연구 센터장인 아비지트 다스 교수는 “미국이 부과한 27%의 관세율을 감당하지 못해 경쟁력을 잃게 될 소규모 제조업체가 많아 인도 수출업계의 역량이 우려된다”면서 “높은 물류 비용, 사업 비용 상승, 무역 인프라 악화는 어려움을 가중시킬 뿐”이라고 말했다.

판카즈 모힌드루 인도 모바일가전협회(ICEA) 회장은 FT에 “중국과 베트남이 직면하고 있는 높은 관세와 비교하면 인도는 단기적으로 수출 경쟁력을 확보할 기회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인도 전자 산업의 장기 변곡점은 미국과 인도 양국이 올 가을까지 합의하기로 약속한 양자 무역 협정의 성공적인 타결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전체 댓글 보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뉴스1'美 145% vs 中 125%' 파국 관세전…中 "추가 인상엔 무대응"(종합)
  • 뉴스핌관세 폭탄에 아마존 中판매업체들 시장 철수 추진
  • 중앙일보17세 치어리더, 돌연 "숨 못 쉬겠어"…원인은 3년간 몰래한 이 짓
  • 연합뉴스미 '그린란드 편입' 정책 시동…'1인당 1천400만원 지원' 회유
  • 경향신문트럼프, “일본 방위비 우리만 수백조원 써” 또 압박···CNN “허위 발언”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