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탄핵심판 변론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비상계엄의 정당성을 주장하며 제기된 의혹들을 거듭 부인했습니다. 하지만, 계엄 당시 지시를 받았었던 사람들이 대통령 쪽 주장과 상반된 증언들을 쏟아냈고, 이게 헌재 판단의 주요 근거가 됐습니다.
흐름을 바꾼 증언들은 신용식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지난 2월 4일, 5차 변론에 나와 정치인 체포 지시는 없었다고 말한 윤석열 전 대통령.
하지만, 같은 날 증인으로 출석한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은 정치인 체포 지시를 분명히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홍장원/전 국정원 1차장 (지난 2월 4일) : '(대통령이)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 우선 방첩사를 도와 지원해.' 그렇게 기억합니다.]
이틀 뒤 6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한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도 윤 전 대통령이 요원이 아닌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했다는 사실을 재확인했습니다.
[곽종근/전 특수전 사령관 (지난 2월 6일) : 의결 정족수 관련된 문제, 부수고 들어가서 꺼내는 부분들이 명확하게 국회의원이라고 저는 그렇게 이해를 하고 그렇게 알았습니다.]
재판부가 유일하게 직권으로 불렀던 증인인 조성현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도 부하들 앞에서 거짓말을 할 수 없다며 의원들을 끌어내란 지시를 받았다고 인정했습니다.
[조성현/수방사 제1경비단장 (지난 2월 13일) : 저는 위인도 아닙니다. 저는 1경비단장으로서 제 부하들의 지휘관입니다. 제가 아무리 거짓말을 해도 제 부하들은 다 알고 있습니다.]
비상계엄 선포 직전 윤 전 대통령은 실질적 국무회의가 있었다고 줄곧 주장해 왔지만, 정작 그 자리에 있던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절차적 흠결이 있었다고 증언하기도 했습니다.
[한덕수/국무총리 (지난 2월 20일) : (당시 회의가) 통상의 국무회의와는 달랐고, 형식적인, 실체적인 흠결이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에 부당하게 동원된 공직자의 증언들이 윤 전 대통령 파면의 근거가 됐습니다.
(영상취재 : 양지훈, 영상편집 : 김호진)
신용식 기자 dinosik@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