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을 파면했다. 탄핵 소추 111일, 변론 종결 38일 만이다. 사진은 지난해 3월 3차 민주주의 정상회의 장관급 회의 개회식에 참석한 윤 전 대통령 모습. (사진=뉴시스 DB) 2024.04.04. photo@newsis.com |
[서울=뉴시스]임철휘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4일 파면된 것과 관련해 일본 언론은 한국의 진보·보수 분열이 심화할 것을 우려하면서 앞으로 치러질 대선이 한일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도했다.
보수 성향의 일본 유력 일간지인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한국 헌법재판소가 이날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와 관련한 탄핵 심판에서 파면 결정을 내리면서 한국 사회의 분열이 더욱 깊어졌다"며 "갈라진 민심을 봉합하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고 우려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비판 강도를 한층 높였다.
후지타 테츠야(藤田哲哉) 닛케이 서울지국장은 이날 '분열 절정 한국, 윤석열 대통령 탄핵'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군 병력을 동원해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국회 장악을 시도한 윤석열 대통령의 행위는 단죄받아 마땅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은 군사 독재 정권과의 투쟁 끝에 민주화를 이뤄낸 역사가 있다"며 "정치적 위기가 닥쳤다고 해서 결코 '전가의 보도'( 家の 刀·최후의 수단)"를 함부로 휘둘러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이번 파면을 단순히 '민주주의가 작동했다'는 평가로 끝낼 것이 아니라, 보수와 진보 세력이 서로 협력하지 못한 미숙함이 오늘날 극단적 분열을 초래했다는 점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보수 성향의 산케이신문은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로 대북 안보 체계가 무너졌다고 꼬집었다.
이 신문은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로 군 수뇌부가 잇따라 체포·기소됐다"며 "지휘 체계가 흔들리면서 윤 전 대통령이 심혈을 기울였던 대북 안보 체제가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북·미 대화 재개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대통령이 탄핵된 한국은 권한을 대행하는 총리 등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회담조차 성사시키지 못하고 있다"며 "한국이 주요 대북 문제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진보 성향의 아사히신문은 "사실상 대선 레이스가 시작됐다"며 "사회 분열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도층을 어떻게 끌어들이느냐가 핵심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국민의힘은 핵심 지지층인 보수층의 반발을 우려해 윤 대통령 파면이 확정될 때까지 본격적인 움직임을 보이지 못했다"며 "당내 후보들은 대선 과정에서 윤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해서는 "지지율 선두를 유지하고 있지만 상승세는 정체된 상태"라며 "강성 지지층 외에 지지 기반을 얼마나 더 확장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평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fe@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