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벌써 관세 전쟁 역효과…공급망 혼란에 "미국 공장 노동자 해고"

0
댓글0
미국 내 부품 공장서 900명 일시 해고
"생산량 감소로 인해 불가피한 결정"
폭스바겐은 "수입 수수료 부과할 것"
한국일보

3일 멕시코 톨루카의 스텔란티스 자동차 조립공장에 조립을 마친 자동차들이 주차돼있다. 톨루카(멕시코)=AP 연합뉴스


미국이 자동차 관세 부과를 시작한 지 하루도 지나지 않아 역효과가 현실화하기 시작했다. 자동차 공급망이 혼란을 겪으며 당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기대했던 경기 활성화 대신 해고와 가격 인상이 미국 자동차 산업을 흔들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가 북미 자동차 공급망을 직격하면서, 취지와 정반대로 미국 노동자에게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국적 자동차 제조회사 스텔란티스는 3일(현지시간) 관세로 인한 생산량 감소로 미국 내 부품 공장 운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곳에서 일하던 시간제 근로자 900명도 해고 상태에 빠졌다. 이번 중단 결정은 스텔란티스가 수요 변동을 이유로 캐나다와 멕시코 소재 자동차 조립 공장의 생산을 멈춘 여파로 이루어졌다. 주변국 공장이 차량 조립을 중단하자 부품을 공급하던 미국 내 5개 공장도 가동을 멈춘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당초 의도와는 반대로 자동차 관세 시행이 시장 침체를 불러온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통해 미국으로 자동차 제조업을 되돌려놓겠다며 이날 0시 1분부터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에 25%의 관세 부과를 시작했다. 당초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호언장담대로 관세 부과가 미국 자동차 제조업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을지 의문을 품어왔다. 앞서 미국 CNN방송은 지난달 31일 "자동차 관세가 미국 내 제조업 활성화로 이어지더라도 수 년의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그 사이 생산량 감소로 미국 자동차 시장이 침체될 것"이라고 보도했는데, 관세 발표 직후 여파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당초 우려했던 자동차 가격 상승도 예상된다. 독일 자동차 기업 폭스바겐은 관세 대응책으로 미국 내 판매되는 차량 가격을 인상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미국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폭스바겐은 지난 1일 미국 소재 자사 자동차 딜러에게 "이번 달 이내로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자동차에 수입수수료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통보했다. 폭스바겐은 이날 딜러에게 보낸 메모에서 "4월 중순까지 구체적인 수수료를 정할 예정이며,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자동차 가격 또한 부품 수입료 증가로 관세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적었다.

이정혁 기자 dinner@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한국일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조선일보유럽·캐나다 이어 중국도 “아이폰 안 쓰고 스타벅스 안 마신다”
  • SBS반트럼프 선봉장 떠오른 83세 샌더스…집회에 역대 최다 인파
  • 머니투데이사실상 중국에 무릎 꿇었다?…"트럼프 약점 노출" 평가 나온 이유
  • 헤럴드경제“명문대 출신·2030女에 속았다”…‘2600억 사기극’에 당한 美 최대 은행, 대체 무슨 일?
  • 세계일보관세유예에도 美 국채 혼란… 中 배후설 ‘솔솔’ [트럼프, 반도체 상호관세 면제]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