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자막뉴스] 11시 선고에 '반짝 국장'…다시 '주르륵' "윤 탄핵보다 미국 악재"

0
댓글0
헌법재판소가 재판관 전원 일치 의견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을 인용하면서 반짝 올랐던 코스피가 다시 하락 전환했습니다.

간밤 미국 증시가 관세리스크, 경기침체 우려로 폭락하자 시장이 악재에 더 크게 반응하는 모습입니다.

오늘(4일) 오후 1시59분 기준 코스피는 전일 대비 44.70p(-1.80%) 하락한 2,442.00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코스피는 이날 장 초반 1.35% 하락한 2453.04에 출발했지만 오전 11시 윤 전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두고 낙폭을 줄였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11시 22분에는 2500.21을 기록해 2500선을 탈환했으나 선고 직후 바로 하락 전환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 탄핵 인용으로 국내 증시가 힘을 반짝 받았으나, 미국 폭락장에 동반 약세에서 벗어나지 못한 겁니다.

지난밤 미국 뉴욕 증시는 2020년 이후 5년 만에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여파로 '무역 전쟁'에 대한 우려가 커진 데다, 경기 침체 우려까지 겹친 영향입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3.98% 하락 마감했으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4.84%)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5.97%) 역시 크게 조정을 받았습니다.

이에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도 대다수가 내리고 있습니다.

[황세운/자본시장연구원 선임 위원: 수출에 대한 부분이 가장 크다고 봐야죠. 반도체도 수출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는 거고요. 엔비디아를 포함한 그 HBM 수출이 되는데 HBM 같은 경우에는 미국이 가장 최종적인 수요자이기 때문에 거기서부터 관세로부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봐야죠. 지금 (상호관세) 25%는 기본적으로 지금 부과가 되는데 그거보다 협상 과정을 통해서 여기서 얼마나 맞춰질 수 있을 것이냐가 관건이 될 텐데요.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을 사전적으로 예측하기가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협상 과정에서도 여전히 상당히 높은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고 봐야 되는 거고요.]

수출에 대한 부분이 가장 크다고 봐야죠. 반도체도 수출로부터 지금 SK하이닉스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엔비디아를 포함한 그 HBM 수출이 되는데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이 같은 분위기는 수출 전망과 더불어 당분간 계속 악재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취재: 심우섭 / 영상편집: 김나온 / 제작: 디지털뉴스편집부)

심우섭 기자 shimmy@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SBS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뉴스1체코 원전 잡은 대우건설, 글로벌 시장 정조준…해외 확장 가속
  • JTBC투자는 역시 '부동산' vs 불패 신화, 이제는 옛말? [생각이 달라]
  • 매일경제노벨상 보니 앞으로 뜰 산업은? 생명과학산업
  • 이데일리"3분 만에 사망" 가스레인지에 '이것' 잘못 썼다간…
  • 비즈워치"발란과 다르다"더니…여전히 불안한 명품 플랫폼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