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입소스 여론조사 트럼프 국정지지도 2%포인트↓…
"경제 안정시킨다더니 취임 3개월 만에 경기침체 말 나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플로리다에서 주말을 보내기 위해 워싱턴 백악관을 나서면서 취재진을 만나고 있다./AFPBBNews=뉴스1 |
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보편·상호관세를 발표한 뒤 국정 지지도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 전문가들은 내년 상원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역풍을 맞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3일(현지시간) 공개된 로이터통신과 여론조사업체 입소스 설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는 43%로 집계됐다. 설문은 지난달 31일부터 3일 간 미국 성인 1486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관세 발표 이후 여론은 일부만 반영됐다.
이번 설문에서 로이터는 상호관세에 앞서 공개된 자동차 관세로 인해 주변인들이 피해를 입을 것 같냐는 질문을 넣었다. 이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52%였다. 또 로이터는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에 관한 지지 여부를 물었는데, 지지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37%에 불과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물가안정 정책을 지지한다는 답변 비율은 30%로 더 낮았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는 급격한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JP모건은 이번 관세 조치에 대해 "1968년 세입법 이후 가장 큰 세금 인상"이라며 "그 자체로 경기를 침체에 빠트릴 위험이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전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재선 도전에 실패하고 민주당이 정권을 내준 주요 이유는 물가를 비롯한 경제 문제였다. 상대적으로 경제 문제에 있어 기대감이 컸던 트럼프 대통령이 경제 안정 포부와 달리 오히려 물가 상승을 일으킨다면 정치역풍을 피하기 어렵다. 로이터통신은 관세 발표 직후 뉴욕 증시가 급락한 것을 거론하면서 "미국의 연금 계좌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고 짚었다.
찰리 덴츠 전 공화당 하원의원은 폴리티코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물가와 경제 안정을 내걸고 출마했는데 (재취임 후) 3개월도 안 돼서 경기침체 우려가 나온다"며 "시민들이 불안과 분노를 느끼고 있다"고 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공보담당관으로 활동한 마이크 더비는 로이터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내년 11월 중간선거에서 진짜 고통을 맞닥뜨릴 수 있다"며 "트럼프가 약속한 혜택을 언제 확인할 수 있느냐가 문제다. 중간선거까지 18개월밖에 남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중간선거는 내년 11월 치러지며 하원 전체와 상원 100석 중 35석(현재 공화당 22석, 민주당 13석)에 앉을 의원을 새로 선출한다.
이미 관세 발표 직전 진행된 선거 세 건에서 반(反)트럼프 여론이 확인됐다. 1일 위스콘신 주 대법관 선거에서 민주당이 지지하는 수전 크로포드가 공화당 지지 후보 브래드 시멜을 10%포인트 격차로 밀어내고 승리했다. 지난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1%포인트 이하 차이로 바이든 전 대통령을 제쳤던 것과 대비되는 결과다. 같은 날 공화당 강세 지역인 플로리다에서 하원 보궐선거 2건이 치러졌는데, 공화당 당선인들과 민주당 후보 격차는 15%포인트 안팎이었다. 지난 대선과 함께 치러진 총선에서 민주당 후보들은 30%포인트 격차로 패했다.
상원 공화당은 일단 트럼프 대통령이 하는 대로 지켜보자는 분위기라고 폴리티코는 전했다. 셸리 무어 캐피토 공화당 상원의원은 "정말 쉽지 않은 상황"이라면서도 "앞으로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 한다. 그(트럼프 대통령)는 협상(을 위한 것)이라던데 지켜보자"고 폴리티코에 밝혔다.
김종훈 기자 ninachum24@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