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대통령 상징' 봉황기 내려졌다…파면 직후 포착된 장면

1
댓글1


[앵커]

대통령 파면 결정이 난 이후 대통령실은 현재 어떤 상황인지 현장에 나가있는 기자 바로 연결해보겠습니다.

강희연 기자, 윤 전 대통령의 입장이 나온 게 있습니까?

[기자]

네, 현재까지 입장이 나온 게 없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조금 전 한남동 관저에서 TV 생중계로 선고를 지켜본 걸로 전해지는데요.

헌재에서 주문 낭독을 마친 뒤 이제 30분**쯤 지났지만 별다른 입장은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대통령 대리인단인 윤갑근 변호사만 선고 직후 기자들을 만나서 "법리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결정, 완전히 정치적인 결정"이라며 "참담하다"는 입장을 냈습니다.

상황을 좀 더 지켜본 뒤 윤 전 대통령이 직접 메시지를 내거나 변호인단을 통해 메시지를 낼 가능성도 나오고 있는데 여기에 승복 메시지가 담길지 주목됩니다.

[앵커]

외신에서도 상당히 주목하고 있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대통령실 지금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기자]

우선 탄핵 선고 이후, 대통령실 봉황기가 내려가 상태입니다.

윤 전 대통령의 공식 임기가 시작됐던 2022년 5월 10일 용산 대통령실에 처음 내걸렸던 봉황기가 3년만에 내려간 겁니다.

대통령실도 따로 공식 입장을 내진 않고 있습니다.

다만 헌재의 대통령 파면 선고에 충격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가 읽힙니다.

대통령실 직원들은 이곳 청사에서 선고 결과를 지켜봤습니다.

오늘(4일) 아침까지만 해도 한 대통령실 관계자는 취재진에 "윤 대통령이 복귀할 걸 대비해 동선 점검을 비롯해 곧바로 업무보고를 받을 수 있도록 준비를 다 해둔 상태"라고 밝히면서 헌재의 기각 기대감을 드러내기도 했는데요.

하지만 이런 대통령의 직무 복귀 기대는 무산됐습니다.

오늘 결과로 일부 참모들이 사의를 표명할 가능성도 제기되는데, 대통령실이 추후 어떤 입장을 밝힐지 좀 더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럼 윤 전 대통령은 이제 관저를 떠나서 사저로 가게 되는 겁니까? 앞으로의 전망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한남동 관저를 떠나 사저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로 향할 걸로 전망되지만 경호 등을 이유로 관저에 며칠 더 머무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은 탄핵 선고 이틀 뒤 청와대를 떠난 바 있는데 대통령실도 그런 전례를 참고하고 있는 걸로 전해집니다.

윤 전 대통령은 향후 사저에서 변호인단과 함께 앞으로 이어질 내란혐의 수사 대비에 나설 걸로 보입니다.

한편 대선이 치러지기 직전까지 대통령 권한대행을 이어갈 한덕수 국무총리는 조금 전, 대국민담화를 통해 "국정의 안정적 운영과 대통령 선거 관리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주수영 김미란 / 영상편집 강경아]

강희연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JTBC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전체 댓글 보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일요시사<탄핵 후폭풍> 윤석열이 삼킨 이슈들
  • TV조선국민의힘 "대통령 가장 근접한 사람이 개헌 거부"…이재명 압박
  • 노컷뉴스[뉴스닥] "대선열차 타려는 尹, 막을까? 시험대 오른 국힘"
  • 뉴시스홍준표 "이준석, 결국 우리 쪽으로"…李 "무슨 염치로?"
  • 매일경제김상욱 “당헌 위배된 행동을 한 건 尹…탈당할 의사 없다”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