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김빛내리, 세계 첫 ‘mRNA<메신저 리보핵산>’ 작동 원리 규명

0
댓글0
기초과학연 RNA연구단 연구결과
백신 전달·분해·제어 단백질군 발견
안정성↑·부작용↓신약 개발 기대
세계 최고 학술지 ‘사이언스’ 게재
헤럴드경제

이번 연구를 수행한 김빛내리 IBS RNA 연구단장 [IBS 제공]



mRNA 백신을 더욱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핵심원리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 김빛내리 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석좌교수) 연구진이 mRNA 백신의 세포 내 전달과 분해를 제어하는 단백질 군을 찾아내고 그 작동원리를 최초로 규명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4일(현지시간) 게재됐다.

코로나19 백신으로 대표되는 mRNA 기반 기술은 감염병 대응뿐 아니라 암 백신, 면역 및 유전자 치료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해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크다. 특히 mRNA 합성 기법과 체내 전달 물질인 지질나노입자 개발을 통해 mRNA 기술은 혁신적인 치료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치료용 RNA가 체내에서 어떻게 작동·조절되는지 구체적인 기작은 충분히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코로나19 백신의 주역인 N1-메틸수도유리딘 변형 염기는 mRNA 백신의 효능 혁신과 상용화를 이끌었지만 무엇이 효능을 높였는지, 원리가 무엇인지는 분명치 않았다.

IBS 연구진은 mRNA를 제어하는 세포 내 인자들을 찾아내고자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녹아웃 스크리닝을 면밀하게 진행했다.

mRNA 치료제의 효능을 높이고 부작용을 없애려면 mRNA가 세포로 유입·조절되는 인자와 활용되는 과정을 이해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약 2만 개의 유전자를 포함한 CRISPR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mRNA 백신을 조절하는 세포 인자를 유전체 수준에서 스크리닝했다. 그 결과 연구진은 mRNA가 세포 내로 전달·유입되는 데 필요한 핵심 단백질 인자들과 조절 경로를 밝혀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세포막 표면에 있는 ‘황산 헤파란’ 분자는 mRNA를 감싼 지질나노입자와 결합해 세포 내 유입을 촉진한다. 이를 통해 지질나노입자는 세포내 소포체로 들어가게 된다.

양성자 이온 펌프 ‘V-ATPase’는 소포체 내부를 산성화시키고 지질나노입자가 양전하를 띄도록 하여 소포체 막을 일시적으로 파열시키는데, 이 막이 깨지면서 mRNA가 세포질로 방출, 단백질로 발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연구진은 발견 RNA 치료제에 대한 주요 억제 인자와 함께 외부 RNA의 침입을 경보하는 양성자 이온의 중요한 역할도 최초로 발견했다.

또한 mRNA를 결합·제거하는 TRIM25 단백질이 N1-메틸수도유리딘 변형 염기에는 그 결합력이 현저히 감소해 mRNA를 절단·분해하지 못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코로나19 mRNA 백신의 효능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던 요인과 원리를 이해하게 된 것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mRNA 백신의 세포 내 작동 원리를 최초로 밝혀냄으로써 mRNA 치료제의 효능과 안정성을 한 단계 높여갈 이론적 토대가 마련됐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김빛내리 단장은 “양성자 이온이 면역 신호 전달 물질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발견하고 외부 침입자에 대항하는 세포의 방어 기전에 대한 이해를 한층 넓혀 RNA뿐 아니라 면역, 세포신호 분야에도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의 의의를 전했다.

구본혁 기자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비즈워치바이낸스서 상폐된 김치코인 국내선 360% 폭등
  • 서울경제네이버, 모빌리티·커머스 '버티컬 공략'···카카오는 오픈AI와 손잡고 대중화 추진 [AI 비서, 모든 산업 삼킨다]
  • 이투데이LG유플러스, 반려동물 재난구호 위해 동물자유연대와 협력
  • 게임톡쿠팡플레이, 다이나믹 듀오-거미-키키와 'LIV골프 콘서트'
  • 아시아경제구글 AI 전설이 본 딥시크 쇼크 "오픈소스의 힘" [테크토크]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