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둔 4일 오전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모여 있다. 임재희 기자 |
4일 오전 11시22분, “주문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는 헌법재판소의 ‘전원 일치 파면 선고’가 이뤄지자,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 모여 선고를 듣던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은 격렬한 ‘부정’과 ‘욕설’을 쏟아냈다. 집회 장소에 있던 플라스틱 의자를 집어 던지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고령층 지지자들은 “나라가 망했다”, “아이고 대통령님”을 외치며 태극기와 성조기를 얼굴에 두른 채 쓰러져 울었다. 한편에서 “우리에겐 트럼프가 있다”고 외치며 성조기를 흔들고 위로하는 지지자도 보였다.
그 순간, 무대 위에서 사회자로 나선 신혜식 신의한수 운영자가 말했다. “전광훈 목사와 함께 광화문에서 국민저항운동을 시작하겠습니다.” 뒤이어 무대에 오른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는 “저는 국민혁명의장으로서 절대로 대한민국을 북한의 연방제로 넘겨줄 수 없기 때문에 윤 대통령 탄핵을 인정할 수 없다. 헌재 판결이 다가 아니다. 그 위의 권위인 국민저항권이 남아있다. 이걸 행사 위해서 내일 광화문광장으로 3천만명이 다 모이자”고 외쳤다.
애초 이날 안국역 5번 출구와 시청~광화문 광장에서 집회를 열기로 한 자유통일당 등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은 전날 오후 집회 장소를 변경해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으로 이동했다. 지하철 6호선 한강진역은 이날 아침 9시부터 무정차 통과했다. 용산구청은 한강진역 2번 출구 쪽 육교에 철제 구조물을 설치해 통행을 차단하기도 했다. 탄핵 재판 선고 시점이 다가올수록 그 수를 불린 윤 대통령 지지자 9천여명(경찰 비공식 추산, 오전 10시30분 기준)은 한남대로 남산 방면 3개 차로를 250여m가량을 메웠다.
11시 선고 시작과 함께 일순 고요해졌던 관저 앞 집회 현장은 문형배 헌법재판소 권한대행이 선고문을 읽어 내려갈수록 점차 격앙된 욕설로 뒤덮였다. 지속해서 ‘피청구인의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선고문 낭독에도 “어차피 기각인데 왜 오래 끌어”라고 희망을 놓지 않으려던 지지자들은, 시간이 갈수록 표정을 일그러뜨리기 시작했다. ‘영장주의를 위반했다’는 헌재 판단에는 “계엄인데 영장이 왜 필요해”를 외쳤고, 헌법재판소 재판관들을 향해 “제삿날일 줄 알라”는 도를 넘는 위협 발언도 이어졌다.
이들은 선고 직전까지도 ‘탄핵 기각’ 또는 ‘각하’를 확신하는 모습이었다. ‘전자개표기 폐기’, ‘반국가세력 척결’, ‘부정선거 사형’ 등이 적힌 깃발과 ‘윤석열 즉각 복귀’라고 적힌 손팻말을 연신 흔들었다. 지지자들은 한남동 관저 앞을 “약속의 땅”이라 부르며 “선관위 서버 까” 등의 가사가 담긴 ‘부정선거 척결가’를 부르기도 했다. 이날 오전 10시40 분께 무대에 오른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는 “백프로, 천프로, 만프로 기각될 것”이라며 “윤 대통령이 계엄령 선포 안 했으면 대한은 이미 북한으로 넘어갔다”, “반국가세력을 싹 점검하기 위해서 또다시 우리는 국민혁명을 일으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 지지자들의 집회 거점이 한남동으로 변경되면서 헌법재판소 인근은 비교적 한산한 모습이었지만, 지지자와 유튜버 50여명이 몰려들었다. 이날 윤 대통령 파면 선고와 함께 한 지지자가 곤봉으로 경찰 차량 버스 유리를 파손하다가 제지당하는 일도 벌어졌다. 헌재 앞을 촬영하는 윤 대통령 지지자 유튜브에는 “인용되면 오늘 헌재 유리창 다 박살 난다”, “탄핵 인용되면 서울시 전지역 차 가지고 도로 다 막아버리고 집결하자”는 등 위협적인 댓글이 달렸다. 앞서 경찰은 집단 폭력 사태를 유발할 수 있는 선동을 우려해 다수의 유튜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난동 등 폭력 사태가 발생하면 형사 처벌과 민사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날 경찰은 경찰 기동대 30개부대(1800여명)를 투입해 관저 주변을 경계했다. 선고를 30여분 앞둔 10시30분께에는 헬맷과 완전진압복을 착용한 기동대원 70여명이 관저 들머리를 막아섰다. 경찰은 흥분한 시위대가 여의도 국회 앞으로 몰려갈 가능성에 대비해 국회 앞에도 기동대 20개 부대(1200여명)를 배치한 상태다. 그밖에 대사관이나 법원 등 주요 기관들을 보호하는 시설경비를 위해 47개 기동대(3천여명)가 서울 곳곳에 배치됐다.
임재희 기자 limj@hani.co.kr 정봉비 기자 bee@hani.co.kr 김가윤 기자 gayoon@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