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선고일을 하루 앞둔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일본 언론들은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가결로 파면이 결정되자 “한국 헌법재판소가 지난해 비상계엄 선포를 둘러싸고 탄핵 소추된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 결정을 내렸다”며 “윤씨는 즉시 직을 잃었다”라고 보도했다.
교도통신은 이날 “한국에서 60일 이내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며 6월3일 선거가 유력하다”며 이렇게 보도했다. 다만 통신은 “윤씨가 2년여 임기를 남기고 퇴장하지만 계엄령과 관련해 한국 사회의 여론과 정치권에서는 여야 대립이 깊어졌다”며 “차기 대통령 선거를 통해 이런 갈등이 격화할 가능성이 있어 사회 혼란이 제대로 수습될지 불투명하다”고 내다봤다. 아울러 차기 대통령 후보 가운데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여론조사에서 우세한 상황이지만 향후 선거전 향방을 함부로 예단할 수는 없다고 풀이했다.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지난 탄핵 심판 과정을 꼼꼼히 전하며 이날 결과를 보도했다. 방송은 “지난해 12월 비상 계엄을 선포한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요구안이 국회에서 통과됐고 헌법재판소가 탄핵이 타당한지 여부를 심리해 이날 오전 11시22분 탄핵이 타당하다는 결정을 내렸다”고 전했다. 또 방송은 “윤씨를 둘러싸고 내란을 모의한 혐의로 구속 기소(현재는 석방)돼 형사 재판도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사히신문은 이날 “윤씨가 1987년 한국 민주화 이후 처음으로 비상계엄을 발동했다”며 “탄핵심판 종결 뒤 38일 만에 탄핵 가결 결정이 내려졌다”고 보도했다. 일본 언론들은 한국에서 대통령 파면은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두번째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신문은 “과거 탄핵 소추받은 노무현, 박근혜 대통령은 변론 종결 뒤 2주 이내 판결이 내려졌지만 이번에는 비상계엄이라는 사안의 중대성 등으로 인해 헌법재판소가 신중을 기했다는 관측이 나왔다”고 보도했다. 한국 대선 일정에도 주목했다. 신문은 “앞으로 60일 이내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는데 최근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후보가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다”고 전했다. 이밖에도 일본에선 요미우리신문, 마이니치신문, 산케이신문 등 주요 언론들이 일제히 윤 대통령 파면 소식을 온라인 뉴스 머리기사 등으로 긴급 타전했다.
앞서 일본 언론들은 헌재 판결 전 상황을 자세히 보도하며 관심을 집중했다. 지지통신은 “헌법재판소는 이날 탄핵 심판 선고의 일반 방청 경쟁률이 4815.5대 1이었다고 발표했다”며 “지금까지 한국 대통령 탄핵 재판 중 최대 경쟁률”이라고 보도했다. 이날 현장 방청은 20명 입장이 가능했지만, 9만637명이 신청했다. 일본 티비에스(TBS) 뉴스는 탄핵 심판 선고 직전 헌재 앞 상황을 설명하며 찬·반 시민들 사이에 충돌 우려를 드러내기도 했다. 방송은 이날 헌재 주변에 윤 대통령이 파면될 경우 더 큰 혼란이 우려되며 경찰이 경력 2만여명을 투입해 최고 수준 경계 태세를 취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방송은 “서울에서는 군중들의 폭동 등에 대비해 경계가 내려져 긴장이 고조돼 있다”며 “경찰이 헌재 건물을 버스로 둘러싸고 반경 150m 이내로 일반 시민들의 접근을 차단하고 있다”고 전했다.
도쿄/홍석재 특파원
forchis@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