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800조원대 CCU 시장 선점위해 산학연이 뭉쳤다

0
댓글0
과기정통부 'CCU 이니셔티브' 출범
장단기 CCU 중점 추진전략 발표
470억 투입해 CCU 핵심기술 확보
1조1392억 투입해 CCU 실증 진행


파이낸셜뉴스

과기정통부 이창윤 1차관이 4일 서울 과학기술회관에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이니셔티브' 출범식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구온난화를 막고 800조원 규모로 예상되는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시장 선점을 위해 산학연이 협력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우선 올해부터 2029년까지 총 470억원을 투입해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1조원 이상을 투입해 CCU 기술을 실제 산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실증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4일 서울 과학기술회관에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이니셔티브' 출범식을 개최하고, CCU 중점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과기정통부 이창윤 1차관을 비롯해 국내 주요기업, 연구기관 및 학계 등 산·학·연 전문가 150여명이 참석했다.

이창윤 차관은 이날 행사 개회사를 통해 "탄소중립은 미래세대의 생존을 위해 필히 성공적으로 완수해야 하는 과제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과학기술적 해법으로 CCU 기술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과기정통부가 CCU 이니셔티브를 기반으로 민간과 긴밀히 소통하며 기술개발, 산업기반 조성 및 제도개선을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CU 기술은 산업활동 등 온실가스 배출원에서 배출되거나 대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인간 생활이나 경제활동에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고 이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감축해 탄소중립을 실현하면서도,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해 차세대 산업으로 육성시킬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가진다.

신기술 분석업체인 럭스 리서치(Lux Research)에 따르면, CCUS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2030년 700억 달러(약 101조원), 2040년 5500억 달러(약 80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과기정통부는 산·학·연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석유화학, 시멘트, 철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을 산업 현장에 적용할 방안을 논의하고, 법·제도,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기업 중심 협의체인 'CCU 이니셔티브'를 출범했다.

이날 과기정통부는 CCU 기술 및 산업의 중점 육성을 통한 과학기술 기반의 탄소중립 사회 가속화를 위한 'CCU 중점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CCU 중점 추진전략은 크게 기술개발과 산업육성 2가지 측면에서 추진된다.

먼저, 기술개발의 경우 단기와 중장기로 구분해 핵심기술 확보의 적시성을 높일 계획이다.

단기적으로는 CCU 중점 연구실 지정·운영, CCU 글로벌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CCU 연구역량 결집을 통한 기술 분야별 세계 최고 수준의 선도기술을 확보하고 체계적인 연구-산업 연계를 추진하기 위해 CCU 중점연구실을 구성·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 40억원을 시작으로 2029년까지 총 470억원을 투입하는 탄소중립 글로벌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가동한다. 이를통해 선도국과 CCU 기술 공동개발·실증도 추진할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는, CCU 대형실증 사업 추진, 차세대 CCU 기술개발을 강화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기업, 지자체, 출연연구기관 등이 연계된 'CCU 대형 실증 프로젝트'를 내년부터 가동하기 위해 현재 예타심사 중이다. 예타를 통과하면 내년부터 2030년까지 총 1조1392억원으로 기획, 전국 4대 권역에서 기업들과 함께 CCU 실증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정유화학, 석유화학, 시멘트, 철강, 발전 등 이산화탄소 다배출 산업을 중심으로 우선적으로 정부지원 대형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성공사례를 창출해 타 기업으로 확산을 유도해 나갈 예정이다. 이는 초기 시장 형성의 단계에서 기업들이 기술개발 및 대규모 실증에 뛰어들기에 애로사항이 있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이와함께, 기술개발과 더불어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이하 CCUS 통합법)을 기반으로 기업 진입 활성화 제도의 설계·운영을 통해 CCU 산업육성도 적극 추진한다.

이번 정책포럼에서는 한국화학연구원 이영국 원장의 CCU 기술동향 강연과 한화토탈에너지스 및 ㈜파텍의 CCU 기술을 활용한 실증사례 발표 후 'CCU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를 주제로 패널토론도 진행했다.
#이산화탄소 #기후변화 #탄소중립 #CCU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뉴스1트럼프 관세폭탄에 美실리콘밸리도 패닉…반발 감지
  • 이데일리[단독] 정용수 삼쩜삼 대표 "국세청 원클릭과 본질 달라…생활밀착으로"
  • 전자신문충남TP, 첨단 반도체 후공정 산업 육성 착수…도 반도체팀에 이어 전담 조직 신설
  • 중앙일보잠꼬대가 시그널이었다, 알리도 KO패 당한 그 병 [Health&]
  • 비즈워치리플 20% 폭락…코인시장도 '블랙먼데이'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