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美 증시, 바닥은 멀었다"…S&P500, 5000 붕괴 전망까지

0
댓글0
머니투데이

S&P500지수 올들어 추이/그래픽=윤선정



미국 증시가 3일(현지시간) 관세 충격에 폭락했다. 이날 다우존스지수는 4.0%, S&P500지수는 4.8%, 나스닥지수는 6.0% 떨어졌다.

'공포지수'라 불리는 시카고 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 지수(VIX)는 39.6% 폭등하며 30을 넘어섰다.

통상 이 같은 패닉셀(공황성 매도)과 공포지수의 급등은 증시 바닥이 머지 않았음을 예고하는 신호로 해석된다.

하지만 투자 전문 매체인 배런스는 이날 '주가는 얼마나 더 떨어질까? 힌트: 많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증시가 폭락했다고 해서 하락세가 거의 끝났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발표한 상호관세가 기업과 소비자들의 비용을 크게 상승시켜 경기 침체를 유발하고 이 결과 기업들의 실적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최근 기업과 소비자 대상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두 그룹 모두 지출을 억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전까지만 해도 월가 전문가들은 다소 가벼운 수준의 관세를 기대했기 때문에 올해 경제성장률이 당초 예상보다 1%포인트 미만으로 소폭 떨어지는데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미즈호의 수석 미국 담당 이코노미스트인 스티브 리키우토는 이날 투자 메모에서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 충격으로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2%포인트 가까이 떨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 같은 경제성장률의 하락은 S&P500 기업들의 총 매출액을 비슷한 비율로 낮추거나 경제에 미치는 타격에 따라 기업들의 이익률은 더 큰 폭으로 악화시킨다.

씨티의 전략가인 스콧 크로너트는 현재 시나리오상 S&P500 기업들의 순이익은 당초 예상보다 더 큰 폭인 11%까지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 같은 실적 전망이 현실화된다면 다른 모든 조건들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S&P500지수는 사상최고가 대비 11%, 즉 5500 바로 밑까지 하락할 수 있다. 하지만 S&P500지수는 이미 이날 사상최고가 대비 12.2% 낮은 5396.52로 마감해 이 같은 순이익 감소 전망을 반영했다.

이에 대해 크로너트는 순이익 감소와 함께 S&P500지수의 멀티플, 즉 주가수익비율(PER)까지 낮아질 수 있어 S&P500지수가 5100을 향해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S&P500지수 5100은 지난 2월19일 기록한 사상최고가 대비 17.0% 낮은 수준이다.

PER 축소를 예상하는 이유는 경제와 기업 실적에 대한 전망이 지금처럼 불확실할 때는 투자자들이 주식에 높은 멀티플을 지불하기를 꺼리기 때문이다.

또 하나 감안해야 할 것은 주가가 급락할 때는 매도세가 더 큰 매도세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증시는 상승할 때도, 하락할 때도 적정 수준에서 멈추지 않고 더 나가는 경향이 있다. 배런스는 이 같은 모멘텀 매도세로 인해 S&P500지수가 5100보다 더 내려갈 수 있다고 봤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율이 예상보다 컸던 것도 문제지만 무역 상대국이 미국에 대해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경우 상황은 더욱 심각해진다.

에버코어의 전략가인 줄리안 엠마누엘은 증시가 또 다른 폭락세를 맞을 수 있다며 "전면적인 무역 전쟁, 보복 관세가 시작되면 S&P500지수는 200주 이동평균선인 4677까지 내려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는 S&P500지수의 200주 이동평균선으로 이 수준에서는 통상 투자자들의 매수 의향이 되살아나는 경향이 있다는 지적이다.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급격하게 금리를 인상했던 2022년 말, 코로나 팬데믹 공포가 휩쓸었던 2020년 초, 연준이 금리를 올렸던 2018년, 경제 성장 우려가 제기됐던 2011년 모두 S&P500지수는 200주 이동평균선 부근까지 하락했다.

한 가지 희망은 연준이 경제 안정을 위해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단기적으로는 관세 영향으로 인플레이션이 올라갈 수 있지만 결국 소비자와 기업의 지출 감축으로 물가 상승세가 제한될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경기 회복을 위한 금리 인하가 시작되기까지 경제와 증시는 앞으로 좀더 고통스러운 기간을 거쳐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배런스는 "핵심은 지금은 주식 매수를 시작할 때가 아니라는 것"이라며 "당분간 증시는 험난할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밝혔다.

권성희 기자 shkwo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노컷뉴스관세 공포에 질린 증시…코스피 -5% 폭락·환율 34원 급등[박지환의 뉴스톡]
  • 더스쿠프침체 깊어지고 물가 치솟고 …12·3 계엄 후 '잃어버린 123일'
  • 이데일리르노 "커넥티비티 서비스 확장"…'그랑 콜레오스' 인기 이어간다
  • 헤럴드경제“이러다 5만전자 붕괴 겁나”…삼전 5.2%·SK하닉 9.6% ‘급락’ [종목Pick]
  • 매일경제대통령 되고 ‘1.6경원’ 날려먹고서는...“약 먹어야 해결” 꿈쩍않는 트럼프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