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광전자 소재 페로브스카이트, 상용화 앞당긴다” DGIST, 물에 의한 열화 현상 비밀 규명.

0
댓글0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이건우) 양지웅 에너지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광전자 소재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의 물에 의한 열화 메커니즘을 원자 단위에서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실용화를 앞당길 성과로 평가받는다.

페로브스카이트는 LED, 태양전지, 광센서, 양자소자 등 다양한 광전자 소자에 활용될 차세대 발광 소재다. 뛰어난 발광 효율과 색 재현성을 지니고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에너지 소재로 각광받고 있지만 물에 취약해 실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전자신문

양지웅 DGIST에너지공학과 교수, 마현종 석박사통합과정생, 안언형 석박사통합과정생(왼쪽부터)


연구팀은 '실시간 액상 투과전자현미경(in-situ liquid-phase TEM)' 기법을 활용, 페로브스카이트가 물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구조적 변화를 원자 단위에서 포착했다. 이를 통해 결정의 면에 따라 물과의 반응 속도가 다르며, 특정 표면이 선택적으로 용해되면서 기존 입방형 구조가 점진적으로 구형으로 변형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전자신문

안정성이 향상된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의 물에 의한 열화과정 이미지


또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표면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했다. 연구 결과, 페로브스카이트와 강한 결합력을 갖는 리간드 또는 소수성 고분자로 나노결정 표면을 보호하면 구조 변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열화 속도 역시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양지웅 교수는 “이번 연구는 페로브스카이트의 물에 의한 열화 현상을 최초로 원자 단위에서 실시간 시각화해 소재의 안정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의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상용화를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연구재단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소재글로벌영커넥트),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미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최근 '셀(Cell)' 자매지이자 세계적 재료과학 학술지 '매터(Matter)'에 게재됐다. 연구는 DGIST,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포항가속기연구소가 공동으로 수행했다.

대구=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자신문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파이낸셜뉴스커피믹스 ‘분무 건조’ 기법으로 고용량 이차전지 만든다
  • 뉴시스LG CNS, 1300억 규모 미래에셋생명 차세대 시스템 구축
  • 이데일리[기고] 암호화폐를 바라보는 시선, 이제는 달라져야 합니다
  • 동아일보산불 덮쳤던 집엔 독성물질 수북… ‘폐’가 위험하다
  • 스마트PC사랑"진정한 AI TV 시대" … 삼성전자 '2025형' 라인업 공개

쇼핑 핫아이템

AD